남북정상회담이 성공적으로 개최되면서 남북 간 경제협력 재개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북미정상회담의 성공 가능성마저 높아지면서 남북 간 농업협력방안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 4월 27일 '판문점 선언'을 통해 "남과 북은 민족경제의 균형적 발전과 공동번영을 이루기 위해 10.4선언에서 합의된 사업들을 적극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북한은 현재 만성적인 식량난에 처해 있다. 본격적인 농업협력사업 이전에라도 식량 등 인도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는 성명을 통해 "40만톤 이상 대북 쌀 지원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대북 쌀 지원은 국내 쌀 재고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데도 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유엔식량기구(FAO)가 추정하는 올해 북한의 식량 부족분은 약 77만톤이고, 우리 정부의 양곡창고에 보관 중인 쌀은 적정 수준을 100만톤 웃도는 실정이다.
이와 함께 북한의 농업 생산성을 높여줘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북한에 비료·농약·종자·농기계 등 농자재 지원과 함께 수리시설 개보수 및 경지정리 등을 지원해야 한다는 것이다. 북한의 식량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자급 환경을 만들어줘야 한다는 것이다. 마침 지난 2014년 농림축산식품부 한국농어촌공사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협중앙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등이 참여하는 '남북농업협력추진협의회'가 역할을 맡아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협의회는 이미 북한 산림 황폐지 복구, 농경지 복구 및 개량, 비료 등 농자재 지원, 식량 지원 및 경협사업 추진 등 구체적 사업을 추진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북한의 농업생산성 향상 및 식량난 완화와 남북의 상호 보완적 농업 협력을 위해 멈췄던 사업들을 진행할 것을 국민들이 기대하고 있다. 2000년대 초반 지원했던 대북 쌀과 생산기술이 중단되면서 최근 북한이 만성적인 식량부족을 겪고 있다. 농업협력사업으로 지원했던 가축의 종축과 사육시설 등으로 인해 가축 사육마릿수도 증가하다가 다시 하락하고 있다. 때문에 성과가 지속적으로 나타나려면 협력방식을 택해 남과 북의 농업이 모두 발전할 수 있는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는 데 이견이 없다. 남북경제협력에서 농업 분야는 다양하고 지속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해 본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