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과 부산권을 종적으로 잇는 남북축 중심의 국토개발 기본 전략을 호남권과 영남권 그리고 강원권~충청권~호남권을 각각 횡적으로 잇는 동서축 중심으로 바꿔야 한다는 신 국토개발전략이 제기돼 주목된다.
  전북연구원이 ‘지방 중심의 국토발전축 대 전환, 전라북도가 선도하자’ 제하의 이슈 브리핑을 통해 그간 부동의 국가 기본전략으로 시행되어온 남북축 중심의 국토개발이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불균형을 극도로 심화시켰다고 지적했다.
  그 결과, 국토의 일부 지역에 불과한 경부축의 수도권에 인구와 경제력 등 국부의 대부분이 집중 배치되어 과밀화 부작용마저 여간 심각하지가 않다. 그런가 하면 경부 남북축에서 동서로 비껴있는 영남권과 호남권은 저개발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어 대조적이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개발 격차와 불균형 발전이 마침내는 국가 발전 자체를 가로막기에 이르렀다는 경고가 끊이지 않았다. 그간 전국 주요 지방도시에 혁신도시를 건설해 수도권 공공기관들의 강제 하방 등 불균형 시정 노력이 전혀 없지는 않았다.
  그런데도 서울과 지방간의 개발격차와 불균형이 바로 잡히기는커녕 되레 심화되어 온 것은 남북축 중심의 국토개발 기본전략에 전혀 변함이 없었던 데서 비롯되어왔다고 해야 할 것이다. 
  그간의 남북축 중심 국토개발 기본 전략의 동서축 중심 대 전환 주장이 주목되는 것도 그 때문이다.
  연구원은 동서축 국토개발 전략 사업으로 서쪽의 새만금과 동쪽의 포항을 잇는 새만금고속도로 중 단절 구간인 무주~대구 간의 조기 건설과 전주 김천 간 철도 건설을 통한 군산과 대구 연결 간선철도망 완결을 제시하고 있다. 동서축 중심의 국토개발 전략은 비단 고속도로와 철도 등 SOC에 그치지 않는다. 각종 산업배치 등에서도 마찬가지다.
  전북도는 그간 연구원 브리핑에 앞서 수시로 국토개발 기본 전략의 동서축 중심 전환을 주장해왔다, 사실에 있어 이 같은 주장은 비단 전북뿐만이 아니라 그간의 남북축 중심의 개발전략으로 소외되어온 동서의 영호남지역 자치단체들에서도 꾸준히 주장되어오기도 했다. 전북의 선도로 이들 영호남 지자체들과의 공동대응이 요구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