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전통시장을 이끌어갈 청년상인 점포들의 휴·폐업이 속출하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정부에서 창업을 청년 일자리 정책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는 만큼 자생력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관리·감독 지원을 위한 시스템 정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3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김정훈 의원실이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받은 ‘청년몰 창업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6년 이 사업에 선정돼 개점한 도내 2개 시장 32개 점포 가운데 12개(37.5%)가 3월 기준으로 휴업 또는 폐업했다.

이들 점포 대부분은 지원기간인 2년이 끝나자 문을 닫은 것으로, 청년들에게 희망을 주기 위해 출발한 청년몰 사업이 오히려 실패와 좌절을 안긴 셈이다.

전주서부시장의 경우 12개 점포 중 4곳(33.3%)이 휴·폐업했으며, 13억5000만원을 들여 조성한 군산공설시장의 20개 점포 중 8개(40.0%) 점포가 문을 닫아 전국 청년몰 14곳 중 두 번째로 폐업률이 높았다.

청년몰 사업이 부진한 것은 대부분 상권이 열악한 곳에 자리잡고, 고객 편의시설이 부족해 지속적인 고객 유입에 한계가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 창업만 지원할 뿐 이후 어려움에 대한 컨설팅 등 사후지원이 없는 것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청년몰 사업이 창업 초기 ‘죽음의 계곡’이라 불리는 어려운 시기를 넘지 못하면서 휴·폐업의 중요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때문에 창업 후 3∼7년 차에 사업 실패율이 급증하는 ‘죽음의 계곡’ 시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이미 창업한 기업에 대한 지원을 더욱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 시기에 은행들은 담보를 요구하며 대출을 꺼리고 벤처투자사는 예비 창업자에게만 눈독을 들이기 때문이다.

지난 2016년 기준 예비 창업자와 3년이 안 된 기업에 대한 지원금은 5000억원에 이르지만 3∼7년 차 기업들을 위한 지원은 1000억원도 안 된다.

도내 창업지원 한 전문가는 “군산의 경우 정부 청년몰 사업의 역점 지역이지만 현대중공업·한국GM 공장이 연이어 문을 닫으면서 지역 경제가 얼어붙은 여파가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면서 “청년몰 조성 시 고객 유입 효과가 큰 곳을 중심으로 추진하고 컨설팅, 멘토링 등 사후 관리 지원을 통해 창업 이후 지속적인 성장을 함께 고민하고 이끌어가야 한다”고 말했다./김대연기자·re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