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가 시민들의 휴식공간인 공원관리에 소홀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적정한 공원관리 예산과 인력 확보, 장비 확충 등에 대책을 세우지 않으면서 행정의 실효성을 담보하지 못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29일 전주시의회가 밝힌 ‘2017 회계연도 전주시 결산검사의견서’에 따르면 현재 전주시 관내에는 완산구 145개, 덕진구 102개 등 총 247개 공원이 분포하고 있다.

근린·어린이·소공원인 생활권 공원이 237개, 역사·문화·수변·묘지 등 주제공원이 9개, 도립공원이 1개이다. 

또한 편의시설 6,497개, 운동시설 2,378개, 공원등 4,413개, 놀이시설 631개, CCTV 344개, 화장실 73개 등 공원시설은 11,533개에 달한다.

총 공원 면적은 22㎢으로, 이는 전주시 전체 면적의 10.8%를 차지하는 규모이다.

공원관리 인력은 행정과 현장관리를 포함해 28명이다.

관련 예산의 경우, 지난해 20억여 원, 올해는 22억여 원이 반영됐고, 장비 차량은 6대이다.

문제는 전주시와 유사한 인구수를 보이는 타 자치단체와 비교할 때 예산과 인력, 관리 장비가 현저히 부족하다는 것이다.

전주시와 유사 수준 규모의 천안시는 2017년도 기준, 공원수 265개 관리에 인력 38명, 예산 39억 원을 반영하고 있다.

청주시의 경우도 243개 공원관리에 인력 40명과 예산 56억 원을 투입하고 있으며, 인구 28만 여명의 순천시도 30억 원을 관리예산으로 투입하고 있다.

특히, 인구 규모 2배인 수원시는 관리예산이 200억 원에 달한다.

이에 신속한 현장민원 대응과 적기 공원 관리가 어려울 뿐만이 아니라 건강관리의 근간으로 시민들의 이용이 빈번한 공원시설물의 관리 소홀이 발생, 시민들의 원성과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현재 시는 시설물 관리의 경우, 즉시대응 가능 사안은 현장에서 처리하고, 기타 사안은 사업발주와 단가계약 등을 통해 추진하고 있다.

제초작업은 내부 기간제 인력활용과 일부는 외부 사업발주로 수행하고, 작업 진척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작업을 실시하지만 작업 대상 공원수가 많고 공원간 거리로 인해 신속대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특히, 74개소에 달하는 화장실의 청소 등 환경정비에 공공근로자와 공무직 등 23명만이 배치된 실정이다. 

이에 대해 전주시 결산검사위원회는 “시민들에게 편안한 휴식공간으로서 공원은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요구이고, ‘사람의 도시, 품격의 전주’에 걸맞는 쾌적하고 편안한 공원을 위해서는 그에 상응하는 인력, 예산, 장비의 투입은 필수적인 요소”라며 “예산부서와 긴밀히 협조해 유사 자치단체 수준까지 예산을 확보하고 공원운영 선진지를 적극 벤치마킹해 공원이 시민의 건강한 삶을 지키는 울타리가 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할 것”을 주문했다./김선흥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