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가 한국GM 군산공장 자동차 생산시설을 다시 활용해 공장을 되살리는 방안을 GM과 논의 중으로 밝혔다고 전해진다. 군산공장은 전북과 군산의 폐쇄 불가 호소에도 지난 5월 말 문을 닫았다. 
  전북과 군산은 현대 조선소에 이은 GM공장 폐쇄로 지역경제가 붕괴 직전의 치명적 상처를 입었다. 정부가 고용 및 산업위기 지역으로 지정했으나 응급 처치에 불과하고 근본적 회생은 요원하다.
  산자부 문승욱 산업혁신성장실장이 ‘군산경제가 매우 어렵다’며 ‘GM공장 활용 방안을 찾기 위해 GM과 정부 관계부처들과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주목되는 문실장 발언은 GM이 ‘군산공장 시설이 우량하다’면서도 ‘직접 활용할 생각은 없다’고 결별을 분명히 했다는 사실이다.
  GM에 의한 재가동 가능성은 없다는 것으로 GM의 자산인 군산공장은 3자 매각 아니면 해체될 수밖에 없는 처지다. 문실장은 그러나 GM이 ‘공장시설의 활용 주체가 구체화되면 그에 적극 협력 하겠다’고 했고 활용은 ‘군산경제와 고용에 기여하는 방안’이라 말했다고 했다.
  군산공장 시설을 활용해 군산경제와 고용에 기여하는 방안과 사업주체가 나오면 GM이 시설 매각 등에 적극 협력하겠다는 것이 된다. 실제로 한국GM은 공장을 폐쇄한 마당에 달리 길이 없을 수밖에 없기도 하다.
  그렇다고 할 때, 산자부는 최근 한국의 자동차업계에 신선한 충격을 던져주고 어쩌면 고비용 저효율 질곡서 내리막길을 걷는 한국 자동차산업에 재도약의 길을 시사해주게 될 것 같은 ‘광주자동차 모델’에 주목하기를 바란다.
  광주시가 최근 ‘근로자 연봉 4천만 원, 주당 40시간 근로’를 핵심 내용으로 한 ‘광주형 일자리 만들기’ 창조적 모델로 현대자동차와의 협력 아래 연산 10만대, 고용 1만2천 명의 완성차공장 설립 추진에 성공했다. 광주시가 사업주체로 지역 기업과 협력업체 합작투자다.
  4년여 백지에 그림을 그린 광주자동차에 비해 군산은 땅 짚고 헤엄치기일 수가 있다. 우량한 생산시설과 협력업체 그리고 숙련 근로자들의 이용과 동원이 용이하다. 유일한 과제는 광주형 합작투자 사업주체의 구성이다. 이는 전북도와 군산시 등 지자체 몫이다. 산자부의 주목을 바란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