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6.13 지방선거 개표 결과, 기초의회 의원 출신들의 광역의회 대거 입성이 눈길을 끌고 있다.
특히, 충실한 기초의회 의정 활동을 바탕으로 광역(도)의회에 진출, 명실상부한 정치인으로서의 ‘FM적 스팩’ 기반을 닦는 동시에 지방의회가 지방 정치의 요람으로 거듭날 가능성을 재확인 시켜준 결과라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나아가 전북 정치 인재들의 향후 중앙 정치권(국회) 진출에 있어서도 하나의 원동력으로 발휘될 수 있는 기회를 점치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이번 선거를 통해 제11대 전북도의회에 입성하게 될 현역 기초의원 출신은 오평근, 이병도, 김명지, 최찬욱, 이명연 등 총 5명으로, 모두 전주시의회 의장 등을 역임한 관록을 자랑하는 인사들이다.
아울러 도의원 재선에 등극한 송성환, 국주영은(이상 전주시의회), 김종식(군산), 김대오, 김정수(이상 익산), 김철수(정읍), 이정린(남원), 황영석(김제), 이한기(진안) 한완수(임실), 최영일(순창), 최훈열(부안) 당선인들도 각 지역 기초의회 출신들로 이번 11대 의회의 절반 수준을 차지하게 됐다.
이처럼 정치 체급 상향에 따른 신인(?)당선인들이 다수 전북도의회에 입성하면서, 평균 의원 선수(選數)도 지난 선거보다 낮아져 총 35명(비례대표 4명 제외) 중 재선 11명, 초선 24명에 이르는 상황이다.
이 같은 상황으로 인해 다음 달 개원하게 될 전북도의회 상임위 배분 및 위원장 자리 등을 놓고 일각에서는 벌써부터 우려의 목소리도 감지되고 있다.
지난 10대 당시에도 다선의 기초의원 출신 초선 도의원 당선인들이 이전의 정치경력(기초의회 의장 등)을 앞세우며 상임위원장 자리를 요구하는 등의 논란이 일어나기도 했기 때문이다.
지역 정가에서는 체급 상향으로 당선이 됐더라도 도의원으로서의 선수는 분명한 초선이기 때문에 시·군 의원 당시의 의장이나 다선 등의 경력 주장은 (도)의회 상임위 등 여러 구성 논의에 장애물이 될 수 있는 요소라고 경고했다.
정가의 한 관계자는 “기초의회에서 많은 경험과 충실한 의정활동 등으로 평가를 받은 인재들이 도의회에 입성하는 것은 전북 정치발전을 위해서도 올바른 결과라고 생각한다”면서도 “하지만, 기초의회는 해당 지역 시·군민을 위한 정치 행위였다면 광역의회는 전북도민 모두와 나아가서는 중앙 정치권과도 긴밀한 협조를 취해야 하는 만큼, 한 발 발전된 사고와 봉사정신 등이 필요한 곳”이라고 설명했다.
/유승훈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