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쌀과 감자 채소류 등 이른바 밥상물가 잡기에 팔 걷고 나섰다고 한다. 지난 한달 농산물 도매물가가 평년보다 4% 넘게 뛰어오른 데 따른 것이다. 쌀 등 정부 비축 농산물의 긴급 방출이 주요 대책이다.
  정부가 밥상물가 급등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은 당연해 이에 공감한다. 그러나 성급한 일면이 없지 않은 것 같다. 지난 달 밥상물가 급등이 주로 기상조건 불리에 따른 시설채소류 등에 의해 주도된 것이었으나 이달 들어 안정세로 돌아섰기 때문이다.
  최근 밥상물가 급등에 오른 쌀값이 주도한 측면도 강하다. 최근 쌀값 동향은 정부 당국자의 주목을 끌어왔다. 30년 사이 내려만 왔던 쌀값이 이례적으로 오르기 시작해 회복 국면을 보이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
  정부 발표로 최근의 산지 쌀값이 80kg들이 가마 당 지난 4월 17만1천376원에서 5월에 17만2천264원으로 올랐고 6월 들어서 17만4천96원으로 올랐다. 평년보다 10% 넘게 빠르게 올랐다. 전례가 드문 일이다.
  지난 30년 간 쌀 재배면적이 줄고 생산량이 줄었는데도 쌀값은 지속적으로 내리막길을 걸어왔다. 무엇보다 국민 1인당 쌀 소비량이 절반으로 줄어 소비 감퇴가 생산량감축을 앞질러 반감됐기 때문이었다. 정부가 기를 썼어도 쌀값 하락을 막지 못했다.
  그런 쌀값이 최근 오름세를 보여 왔다. 진단은 엇갈리나 지난 해 비축 기피로 인해 민간 재고가 조기에 바닥나고 있는 게 가장 큰 원인이라는 게 유력하다. 남북평화 무드 속 쌀 대북지원 재개 가능성도 영향을 미친 게 아닐까하는 진단도 있다.
  원인이야 어디에 있든 최근 쌀값 오름세에 정부가 재고미 10만 톤을 긴급 방출해 쌀값 잡기에 나선 것은 성급하고 신중하지 못하다고 보아야 할 것 같다. 오르기 전의산지 쌀값은 30년 전 쌀값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이었다.
  모처럼 오른 쌀값을, 그것도 올 수확기가 되면 되돌아갈는지도 모르는 데 일시적 상승에 긴급 제동을 걸고 나서는 것은 쌀 산업 포기에 쌀 농가 외면이라는 비판을 피할 수 없는 일이다.
  최근의 쌀값 상승은 쌀 농가들에 잠시라도 한숨 돌리게 하고 쌀농사에 희망을 되살릴 수 있게 할 것으로 믿는다. 정부미 방출에 신중을 기하라.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