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지방선거에서 전북도와 전북도교육청, 도내 14개 시군을 견제하고 감시하는 지방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쏠림현상으로 일당체제에 따른 우려와 걱정이 벌써부터 나오고 있다.

전북도의회 39명 가운데 무소속과 민주평화당, 정의당이 각각 1명을 제외한 36명이 민주당 소속으로 사실상 민주당 천하다.

도지사가 민주당 소속이기 때문에 의회까지 점령한 민주당 의원들이 같은 당 소속 집행부를 제대로 견제하고 감시할 수 있을지 의구심이 들 수밖에 없다. 그동안 지방의회를 보면 같은 당 단체장과 의원이 있는 경우, 보이지 않는 짬짬이 등이 있어 왔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민선7기를 견제하고 감시해야 할 지방의회의 민주당 의원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해졌다.

한해 6조원이 넘는 전북도 예산과 정책 등을 심의 의결하는 전북도의회는 지난 10대 때보다 의원 정수가 1명 늘어나 39명이다. 이들 가운데 야당은 단 3명에 불과하다.

지역 정치권에서는 11대 도의회 구성원에 걱정스런 눈빛으로 바라고 있다. 민주당 36명 의원 가운데 3선은 없고 재선 11명이 최다선이기 때문이다. 10대 의회에서 의원 4명이 도중하차한 가장 근본적인 원인으로 초선 의원들의 감투욕심에서 시작됐다는 지적이 많다.

다음 달 초에 있을 도의회 의장 선거가 11대 도의회의 순항여부를 알 수 있는 시발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최훈열(부안)의원과 송성환(전주)의원이 도의장에 도전장을 내고 물밑접촉에 나서고 있다.

재선 가운데 연장자인 한완수(임실)의원이 부의장으로 가닥을 잡고, 도의장 합의추대를 강력히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지난 의회에서 초재선의 상임위원장 자리다툼으로 인한 의회 위상 추락을 막기 위한 해석으로 풀이된다.

10대 의회에서 감투싸움은 초선들이 많아지면서 시작됐다. 특히 후반기에 목불인견 모습까지 연출하기까지 했다. 당시 기초의원 다선출신들이 도의원 초선임을 망각하면서 상임위원장을 둘러싸고 동료간 경쟁으로 갈등하는 모습을 보였다.

11대 도의회는 10대 의회보다 초선이 많고, 기초의원 다선출신도 많아 의장단과 상임위원장, 상임위배정 과정에서 잡음을 우려하고 있다. 특히 전주시의회 출신 가운데 최찬욱 당선자 6선 시의장, 김명지 당선자 4선 시의장, 이명연 4선 시의장을 역임해 풍부한 의정활동이 눈에 띄고 있다.

사실상 이들이 기초의회 의정활동 경험과 경력을 요구할 경우 전북도의회는 대혼란으로 빠질 가능성도 매우 높다. 도내 정치권에서는 기초의원 경력은 기초의원 경험과 경력을 인정해도 도의원으로서는 초선이기 때문에 초선다운 행동을 해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여기에 전주시 출신 의원들만 11명에 달해 전주 지역구 의원들만 담합할 경우, 도의회는 전주시 출신 천하가 될 수 있다.

10대에 이어 11대 의회에 입성한 한 재선의원은 다선의 기초의원에 의장출신이지만 철저한 초선의원 자세로 상임위원장 등을 양보해 상임위 갈등 해소에 앞장서는 본보기가 됐었다.

10대 의회에서 겪었던 도의원 중도하차에 대한 반면교사가 11대 의회 의원들이 받아들일 경우, 풍부한 의정활동 경험을 집행부 견제와 감시에 쏟을 수 있다는 기대감도 존재하고 있다.

또 민주당 일색인 도의회에 3명의 야당 의원들은 민주당 의원과 다른 의정활동을 펼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 야당 의원들은 민주당 의원들이 같은 당인 집행부의 민감한 부분을 알고도 모른척하는 경우와 다르게 도민의 알권리와 집행부를 견제하는 소금과 역할을 해 왔기 때문이다. /장병운기자·argus@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