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0대 국회 후반기 원 구성을 위한 여야 간 협상이 조만간 재개될 전망이다. 빠르면 이번 주 중반 만나 7월초까지 상임위배정을 마무리 지을 것으로 보인다. 향후 2년간 국회운영의 밑그림이 그려지는 것으로 특히 전북입장에선 지역출신 국회의원들이 어떤 상임위에 배정되느냐에 따라 향후 지역현안과 관련된 입법과 예산배정을 놓고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단 점에서 초미의 관심사다.
타도에 비해 지역구의원수가 많지도 않고 그렇다고 지역출신 비례대표의원들의 적극적인 지원을 기대하기도 어려운 현실에서 의원들의 가장 효율적이고 생산적인 고른 상임위배정은 두말 할 나위없다. 하지만 타도 입장역시 전북과 별반 다를 바 없단 점에서 한정된 상임위에 우리가 원하는 대로의 배정을 기대하기는 힘들다. 여기에 의원들 개개인의 전문성 또한 무시할 수 없고 지역구가 농촌이냐 도시냐에 따라 선호하는 상임위 역시 각각 다를 수밖에 없는 것 또한 사실이다.
특히 소속 정당이 여야는 물론 무소속 까지 다양하게 분포되면서 정당간 상임위배정 협상이 어떻게 결론 나느냐에 따라 도내 지역구의원들의 선택 폭 역시 한계에 부딪칠 가능성이 높다. 어떻게 되든 지역을 위해 힘을 더할 수 있는 고른 배정이 절실하지만 현실은 녹녹치 않은 셈이다.
더욱이 국회 16개 상임위원회중 당장 서남대 폐교에 따른 공공의대설립과 문화와 예술을 표방하는 전북에 가장 절대적인 힘을 실어줄 수 있는 교문위를 비롯해 신기술개발은 물론 차세대 지역경제 핵심 산업 육성에 힘을 더해줄 수 있는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를 희망하는 전북출신 의원들은 단 한명도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재위, 안전행정위, 환경노동위, 국방위 등도 외면받기는 마찬가지다. 전통적인 인기 상임위로 분류되는 국토교통위, 농해수위, 보건복지위, 산자위 등에만 신청이 몰리면서 큰 그림을 그려야할 전북 입장에선 여간 곤혹스러운 게 아닌 것이다.
자신들이 원하는 데로 상임위를 배정받는 것도 아니고 희망자가 몰리면 정당이 직권으로 나눈다는 점에서 도내 의원들이 특정상임위만 경쟁적으로 선호하는 상황은 절대 바람직스럽지 않다. 지역을 위한 큰 그림을 그리는데 차선의 선택이 필요하다면 자신의 소신을 잠시 내려놓을 줄도 알아야 하는 이유다. 9명의 지역구국회의원들은 전북을 떠받치는 9개의 기둥이기에 조화와 협조와 합치가 무엇보다 중요하기에 더욱 그렇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