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적 농도(農道)’로 대표되는 전북도가 농업의 미래성장 동력을 확보할 사업으로 평가되는 ‘스마트팜 혁신밸리’ 유치에 자신감을 보이고 있다.
특히, 미래 농업의 생산과 교육, 연구, 유통 등의 기능을 집적화 한 일종의 ‘산업단지’ 형태의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당초 전북이 고안, 정부에 적극 건의했고, 이후 전국 사업으로 확대됐다는 점에서 전북 유치의 명분이 가장 크다는 분석이 우세한 상황이다.
또한, 전국을 대상으로 한 전문 농업 인력을 양성해 배출하고 있는 농식품인력개발원이 도내(김제 백구)에 위치해 있는 점과 농촌진흥청 등 농업관련 정부 및 연구기관이 인근지역에 집적화 돼 있는 점도 전북 유치의 우위 사항으로 평가되고 있다.
27일 도에 따르면, 현재 농림식품부는 미래 농업의 생산·교육·연구·유통 등의 제반 기능을 한 곳에 집적화 시킨 스마트팜 혁신밸리를 오는 2022년까지 전국 4곳에 조성할 계획으로, 우선 다음 달 말 공모를 통해 2개 시·도를 최종 선정할 계획이다.
향후 농업의 미래먹거리 산업 기반으로 대표될 ‘스마트팜 혁신 밸리’ 사업은 총 사업비 1800여억 원 규모(유동성 있음)의 신규 투자를 통해 스마트팜 보육센터(교육), 임대형 스마트팜(창업), 스마트팜 실증단지(연구) 등 첨단농업 중심지로 조성될 예정이다.
도는 지난 4월부터 최근까지 도내 14개 시·군의 공모(부안, 익산, 장수, 김제 등 공모 참여)를 붙이고, 핵심시설 조성에 필요한 부지확보, 입지규제, 각종 인허가, 사업수요 등 관련 사항들을 면밀히 검토해 최종 김제시(백구)를 선정했다.
현재 이 사업에는 전북을 비롯해 강원, 충남, 경북, 경남, 전남 등이 유치경쟁에 뛰어든 상태다.
전북의 경우, 일찌감치 ‘스마트팜 혁신밸리 T/F팀’을 구성하는 등 유치에 뛰어든 타 지자체보다 한 발 빠른 대응을 펼쳐온 점과 여러 객관적 지표 등을 고려할 때 유치 후보지로서는 으뜸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다만, 예정 조성지 수가 전국적으로 4곳이기 때문에 권역별로 1곳씩 선정될 가능성이 커 최근 문재인 정부 농림부 장관 출신의 도지사가 당선된 전남과의 (정치적)경쟁은 불가피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전남은 현재 해남을 최종 후보지로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정치적 경쟁 소지가 불거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지만 여러 객관적 지표 및 인프라 구축 등의 구체적 평가가 정도(正道)로 진행되면 전북(김제)의 유치는 어렵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도 관계자는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 사업은 전북을 넘어 대한민국의 농업 발전을 위해 상당히 중요한 사업이고, ‘농도’를 대표하는 전북으로의 유치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일부 지역이 뒤늦게 유치경쟁에 뛰어들고는 있지만 전북만의 훌륭한 인프라, 최초 사업 고안에 따른 명분 등은 유치에 있어 긍정적 평가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유승훈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