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기업들의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대응이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내의 경우, 전문 인력이 턱없이 부족해 지역 특성이 고려된 차별화 된 지원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8일 전주상고회의소(이하 전주상의)가 도내 소재 기업 97개를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기업의 대응 실태’를 조사한 결과, 79.1%가 4차 산업혁명에 대해 ‘준비하지 못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이 중 23.96%는 전혀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고 답했다.

반면, ‘준비하고 있다’는 18.56%, ‘철저히 준비하고 있다’는 고작 2.06%에 그쳤다.

특히 기업의 매출 규모에 따라 대응 정도와 차이가 다른 것으로 조사됐다.

중기업 이상은 ‘4차 산업에 대응해 준비하고 있다’(43.37%)라는 응답이 높았지만, 소기업은 ‘준비하지 못하고 있다’(60.26%)는 응답률이 가장 높았다.

대응이 미흡한 이유로는 ‘전문 인력과 인재 부족’(24.14%)이 가장 많았고, 이어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정확한 이해 부족’(17.47%), ‘4차 산업 관련 R&D투자자금 부족’(15.28%) 순이었다.

4차 산업혁명 대응 수단으로는 ‘관련 전문 인력 확보’(21.49%), ‘기존 직원 재교육 등 역량강화’(13.40%), ‘4차 산업혁명을 받아들이려는 경영진들의 강력한 의지’ 등이 꼽혔으며, 실제로 기업들은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해 ‘직원 재교육 등을 통한 역량강화’(23.23%), ‘경영진의 강력한 변화 의지’(15.15)% 등을 준비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더욱이 4차 산업혁명을 대응하기 위해 도내 기업들은 ‘전문 인력 확보’를 가장 중요하다고 꼽은 가운데, 실제 기업들이 전문 인력을 확보하고 있다고 응답한 기업은 8.08%에 불과해 관련 산업계의 인력난을 짐작할 수 있었다.

이선홍 전주상의 회장은 “지역경제가 어려움에 봉착해 있는 상황인 만큼, 전북경제 활성화를 위해서 4차 산업혁명은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라며 “정부와 지자체는 기존의 획일적인 지원 방식에서 벗어나 다양한 기업들이 활용 가능한 기업규모 및 지역적 특성 등이 고려된 차별화된 지원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4차 산업혁명이란, 인공지능 등 첨단 정보통신 기술이 경제․사회 전반에 융합돼 혁신적인 변화가 나타는 차세대 산업혁명을 뜻한다./박세린기자․iceblue@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