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경제 활성화의 새로운 대안으로 ‘지역상품권’이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활성화를 위한 지원방안이 시급히 요구된다.

지역상품권은 지역 자금의 역외 유출을 막고 침체일로를 걷는 골목상권을 보호하고자 발행한 것이지만 구매자 인센티브와 가맹점 확보, 발행 및 운용방법 등 실효적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8일 전북도에 따르면 지역상품권은 지난 2000년 11월 김제시(김제사랑 상품권)가 도내에서 처음 발행한 이후 장수군(2005년 7월), 임실군(2012년 11월), 완주군(2015년 1월) 등 4곳이 상품권 형태의 지역화폐를 발행하고 있다. 군산시는 오는 9월부터 발행할 예정이며, 진안군도 상품권 발행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4개 시·군에서 발행한 상품권 발행액은 5억∼15억원 규모다. 지난해 4개 시·군에서 판매된 지역상품권 규모는 39억여원이며, 회수율은 90~98%에 이른다. 누적 판매액은 367억원이다.

지역상품권은 지역 내에서 유통되기 때문에 지역 자금의 역외유출을 최소화하고 지역민의 내 고장 상품 소비와 유통을 촉진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지역 내 거래와 생산을 증가시켜 지역 내 일자리를 창출하고 다시 지역 소비를 확대하는 선순환 구조를 끌어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그러나 지역상품권의 활성화 위해서는 할인율 지원, 주민 참여 활성화를 위한 적극적인 홍보 등의 정책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현재 김제시와 완주·임실군은 상품권 구매자에 대한 할인율이 각각 5%로, 개인구매 할인율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다. 장수군의 경우는 할인율이 아예 없다.

또한 주민들의 자발적 참여로 인한 활성화도 고민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지역 상품권의 가맹점 수와 판매금액만 놓고 볼 때 기대만큼의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2000년부터 지역상품권을 발행한 김제시의 경우 올해로 발행한 지 18년째가 됐지만 연간 판매금액이 10억원 수준에 머물며 발행 금액과 소비한 인력을 생각하면 제자리걸음이라는 평가다. 더욱이 소비자의 약 90%가 공무원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실제 소비자는 외면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

따라서 지역상품권이 지역 경제에 어떤 역할을 하고 소상공인들에게 장기적으로 어떤 이익이 발생하는지 이해와 공감대가 형성돼 꾸준한 지역상품권 순환을 위해서는 정확한 특징이 결정돼야 한다는 게 중론이다.

도내 한 경제전문가는 “지역상품권이 지역경제를 살린다는 공익적인 관점에서 관 주도의 상품권 운영 방식에서 벗어나 시민과 상인 중심의 지역 친화적·밀착형으로 바꿔야 한다”면서 “지역상품권은 지방 소도시가 효과가 큰 만큼 지역에 기반을 둔 사회적 투자, 금융생태계 육성, 사회적·공익적 활동 촉진, 청년·소상공인·취약계층 등의 보호 육성을 위한 상품권 확대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김대연기자·re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