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이 농림축산식품부의 스마트팜 벨리 조성 대상지 선정에서 혹여 경쟁 관계 전남에 밀려 탈락되지 않을까 긴장하고 있다고 전해진다. 전북이 긴장하는 것은 공교롭게도 지방선거와 정부 예상 인사서 대상지 선정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파워 전남 인사들이 등장한 데서 비롯되고 있다.
 정부가 최근 전통산업서 벗어나 4차산업화로 변혁이 진행 중인 한국 농업을 신 성장산업으로 선도할 스마트팜 벨리 조성 대상지 전국 4곳 중 우선 2곳을 선정 중에 있다. 이달 안에 선정될 것으로 알려졌다.
 팜 벨리는 정부가 재정 등으로 전폭 지원하게 되어 지역 농업의 선진화를 앞장 서 견인해 나가게 될 것이다. 당연히 전국 농업지대 지자체들이 대상지로 선정되기 위해 전력을 다하고 있을 게 분명하다.
  경쟁이 치열할 수밖에 없다. 전국에 4곳을 선정한다는 것은 권역별로 1곳씩을 조성한다는 것으로 보여 진다. 거기다 우선 2곳으로 선정 폭은 더욱 좁혀져 있다. 전북과 전남 모두 농도를 자처힌디. 호남권역의 아마도 1곳을 두고 선정이냐 탈락이냐의 막가는 경쟁이 불가피한 구조다.
  그런데, 김제를 대상지로 올려놓고 있는 전북은 전남의 사정이 어떤 것이든 정부의 이번 스마트팜 벨리 선정에서 한발도 물러설 수 없는 처지다. 전북을 ‘아시아 스마트 농생명 벨리’로 조성한다는 것은 문재인 대통령 전북 공약 1호다.
  전북은 공약 1호의 실행을 위해 김제의 종자와 ICT농기계, 익산의 식품, 정읍순창의 미생물, 새만금의 농생명 등 5대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12개 대규모 스마트 농생명 사업을 계획해 추진하고 있다.
  전북에는 한국 농업의 사령탑인 농촌진흥청을 비롯한 농업 관련 5대 국가기관과 국가와 공공 및 대학의 농업 연구기관 41곳에 박사급 연구인력 1천500여 명이 집적되어 있다. 한국 농생명 수도라 할만하다.
  농림부의 대상지 선정이 현지 실황과 관련 각종 지표대로 공정하게 이뤄진다면, 전국 1곳에도 전북 선정을 의심할 여지가 없다는 전북도의 자신감에 공감할 수 있을 것 같다. 전남지사에 농림부장관 출신이 취임하고 후임 장관에 전남도 출신이 예상된다 해서 지레 영향력 우려는 기우라는 장담에도 마찬가지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