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제3의 금융도시 지정을 통해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하려한 전북도 계획이 처음부터 난관에 부딪치고 있다. 금융타운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전북금융센터 건립을 위해 필요한 최소 2500억 원의 예산확보 방안이 난망하기 때문이다. 전북에 앞서 한국 금융센터 심장 역할을 하고 있는 서울과 부산센터의 경우 국비지원 없이 순수 민간사업자와 공동출자하는 민간참여개발방식을 통해 현재에 이르고 있는 만큼 전북에만 예외적으로 정부예산을 투입한다는 게 현재 상황에선 불가능하다는 현실적인 이유가 가장 큰 걸림돌이다.  
재정자립도 전국 최하위인 전북이 이에 필요한 사업비 전액을 지방비를 통해 조달한다는 것은 힘에 벅찬 게 사실이지만 전북 미래를 위해선 어떤 식으로든 이사업을 마무리해야 하는게 현실이란 점에서 고민이 깊어지고 있음은 물론이다.  
더욱이 문재인 대통령 공약사업인 전북 제3 금융도시 육성도 결국 전북금융센터 건립에 방점을 찍고 있고 송하진도지사 역점사업인 혁신도시 한국금융허브 육성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하고 있지만 우여곡절 끝에 겨우 부지 확보만을 마무리해 놓은 상황이다. 매년 500억 원 이상을 전북도가 추가 투입해야 사업추진이 가능하단 점에서 과연 제대로 마무리가 될 수 있을지 의문이라는 우려까지 나오고 실정이다. 한정된 예산에서 그만큼의 사업비가 신규 투입된다면 기존 지역사업 축소나 폐지가 불가피한 것은 기정사실이기에 그렇다. 
도는 오는 2022년 전북금융센터 건립을 목표로 올해 안에 기본계획구상과 타당성심사 등을 마무리 한다고 의지를 밝히고 있지만 가장 중요한 예산 확보방안 조차 명확치 않다는 점에서 불신이 가중되고 있음은 물론이다. 일단 첫 삽 뜨고 사업 진행하다 보면 어떻게든 마무리는 될 것이란 안일한 대처론 절대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특히 전북도는 이런 문제점이 있음을 분명 알았을 거고 지금에 와서야 이문제가 쟁점이 된데 대한 준비 부족과 나태한 사업추진에 대한 책임에서 절대 자유로울 수 없음을 알아야 한다.
국비지원이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두 손 놓고 있을 수만은 없을 만큼 전북금융센터건립은 지역현안이 됐다. 어떻게 해서든 정부를 설득하고 민간사업자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지 고민해야 한다. 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