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명석 국립임실호국원장

  우리 호국원에서 지난 6월, 호국보훈의 달 계기 ‘청소년 나라사랑 그림그리기 대회’를 개최한 바 있다. 그때 놀라웠던 것은 어린이집 꼬마아이들이 제출한 작품 중에 통일을 염원하는 그림이 있었다.  교육을 통해서 어린 아이들까지 우리의 아픈 6·25 전쟁 역사를 인식하고 있다는 점에 가슴 찡한 느낌을 받았다.
  
   하지만, ‘6·25전쟁 정전협정 및 유엔군 참전의 날’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은거 같다. 올해는 1950년 6월 25일 북한군의 불법 남침으로 시작된 6·25전쟁이 발발한지 68주년, 또 1953년 7월 27일 정전 협정이 체결된지 65주년이 되는 해이다. 7월을 맞아 정전협정의 배경과 그 의미를 다시 한번 생각해 보는 것도 의미 있는 달이 되지 않을까 한다.

  6·25전쟁 초기에는 북한군이 파죽지세로 우리 군을 밀고 내려왔고, 부산까지 밀려났던 위기에서 1950년 9월 15일 인천상륙작전을 계기로 전세는 역전되었다. 이후 거의 압록강까지 연합군이 진격하였으나, 압록강을 눈앞에 두고 중공군의 개입으로 아쉽게 후퇴하지 않을수 없었고, 1951년 5월 이후 전쟁은 현재의 38선을 넘나들며 교착상태에 빠지고 말았다. 1951년 6월, 유엔군과 북?중 연합군은 6주 이내에 전쟁을 결론낼 것으로 여기고 휴전협상을 시작했으나, 포로 송환 문제를 놓고 난항을 겪으면서 그 이후 2년 이상을 끌게 되었다.

  치열했던 전투로 많은 이들이 기억하는 단장의 능선 고지 전투, 펀치볼 전투, 백마고지 전투, 금성 전투 등은 모두 정전회담이 결렬 또는 지연될 때 벌어졌던 전투였고, 희생자는 많아져만 갔다. 1953년 7월 27일, 드디어 제159차 본회의에서 유엔군, 중국군, 북한군 대표가 휴전조인문에 서명하며 회담과 전장을 오가던 상황에 막을 내리게 되었다.

  정전협정은 종전이 아니다. 이는 교전 쌍방 간에 맺어진 군사협정으로 어느 한쪽도 승리하지 못한, 즉 승자도 패자도 없이 봉합된 협정이다. 6·25 전쟁으로 한반도 전체가 전쟁에 휩쓸려 폐허가 되었고, 18만명 이상의 유엔군과 한국군 전사자를 냈으며 교전의 당사자인 남한과 북한, 참전국 모두에게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남겼다. 우리는 분단국으로 남아 정전협정으로 ‘잠시’ 멈추어놓은 시계를 70여 년간 바라보는 중인 것이다.

  최근 들어 4·27남북회담과 6·12북미회담, 북중회담 등이 연달아 열리며 남북간 화해무드를 타고 있다. 이렇게 6·25전쟁에 직접 참여한 국가들이 한반도를 평화협정으로 이끌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만남을 시작했다고 해서 단숨에 평화협정에서 종전선언까지 가는 길은 쉽지 않을 것이다. 북한과의 신뢰관계가 더욱 돈독히 쌓이고, 남북간 정치?경제?사회의 차이부터 하나하나 해결되어야 하며, 양측이 비무장지대를 평화공원으로 바꾸는 등 서로 화해의 신호를 끊임없이 노력해야 할 것이다.

  정부는 6·25전쟁에 참전한 참전국, 참전용사의 희생과 공헌을 후대에 계승하기 위해 지난 2013년, 정전협정일인 7월 27일을 ‘유엔군 참전의 날’로 제정하고 정전 60주년계기 참전 21개국 정부대표단을 초청하여 감사를 표하는 국제행사를 치렀다. 이후 매년 정부기념행사를 개최하고 있으며, 각 지역 보훈청 주관 하에 자체 기념행사를 마련하여 시행중이다.
 
  우리 국립임실호국원에서도 자체 UN군 참전의 날 기념 참전국 가로기 게양식, 전쟁과 기억?사람 등 테마별 유엔군 참전의 날 기념특별기획전, 스팟 영상물 상영, 나라사랑 테마우표 전시회 및 유엔참전국 나라사랑 타투 체험행사 등을 유엔군 참전의 날 행사를 진행한다.

  우리가 7월 27일을 기념하며 기억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90만 국군과 195만 유엔참전용사의 전쟁으로 인한 희생을 기억하고, 정전협정 이후 한반도 평화유지에 기여한 1,000만 제대군인과 300만 주한미군 장병의 노고를 잊지 말자는 것이다. 한반도의 주체인 우리가 그 누구보다 그간의 희생과 노력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한반도의 영구적인 평화와 안정, 그리고 통일이 되는 그 날을 열망하며, 우리 국립임실호국원에 휘날리는 21개 참전국기와 유엔기 앞에 감사의 마음과 함께 숙연한 마음이 든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