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경제가 타 지역과 달리 총생산이 장기 추세수준으로 하회하는 가운데, 개별 산업의 업황을 고려한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더욱이 국내 건설경기, 지역 주택가격 등 다양한 요인들이 각 산업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기업 지원 및 유치 시 정책적 노력을 집중해야 한다는 방안이다.

26일 한국은행 전북본부가 발표한 ‘전북지역 최근 성장세 평가 및 시사점’에 따르면, 최근 도내는 타 지역과 달리 총생산이 장기 추세수준으로 하회, 성장률이 ‘0%대’로 둔화된 모습이다. 이는 국내 총생산이 2%대를 상회하는 성장세를 지속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도내 성장세 둔화는 지역 고유요인에 주로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도내는 타 지역과의 생산 격차가 자동차 수출의 산유국에 대한 의존도가 높고, 기계 생산에서 건설기계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 유가 및 에너지․광물 가격 하락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크게 받았다.

아울러 비금속도 도내 건설경기의 상대적 부진으로 줄어들어 타 지역과의 격차를 유방하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지역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보면, '제조업'과 '건설업'이 도내 성장세 부진을 주도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제조업은 수출 부진에 따른 ‘기계․운송장비’(-5.94%) 축소, 국내 전방산업 부진에 따른 비금속․금속(-2.25%) 감소 등에 주로 기인해 둔화됐고, 건설업은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건설 기성액이 모두 감소하며 부진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전북지역은 개별 산업의 업황을 고려한 정책을 수립해야 하는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 모습이다.

업종 부진 업종의 경우, ‘자동차’ 중 상용차는 최근 4년 간 생산 감소가 지속됐으며, 향후 전망도 밝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상용차의 생산량 증대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어 전방산업 부진으로 어려움이 예상되는 ‘금속가공’은 신규 기업 유치보다는 기존 기업의 경쟁력 확보에 주력해야 하며, ‘건설’ 역시 산업파급효과가 큰 만큼, 부양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설명이다.

업황 개선 업종인 ‘식품’도 유기적인 식품산업생태계 형성을 고려한 기업 유치 및 식품산업과 전체 지역경제와의 선순환 구조 정착을 위한 전략을 추진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또한 ‘화학’ 역시 주요 화학제품의 공장 증설이 도내에서 이뤄질 수 있도록 기업체와 주기적으로 접촉할 필요가 있으며, ‘기계’는 도내 산업발전 정책과 유기적으로 연결되며 기조적으로 성장추세에 있는 농기계 산업의 육성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판단이다.

한은 전북본부 관계자는 “최근에는 자동차, 조선 등 주요 업체의 가동 중단으로 이들 산업에 정책 지원이 집중됐다”며 “향후에는 주요 업종의 경기 전망을 고려해 정책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박세린기자․iceblue@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