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송하진 전북지사가 성명을 통해 중앙 한 언론사의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 서울 재 이전 주장을 중단하라고 촉구한바 있다. 지방자치단체장이 중앙의 유력 언론사에 이 같은 성명을 낸 것은 이례적이다.
  기금운용본부는 이미 전북 혁신도시로 이전해 자리 잡았다. 서울로 재 이전될 가망은 전무하다. 그런데도 성명 후에도 주장이 다시 제기됐다. 송 지사가 중단을 촉구한 것은 그 같은 주장이 현실적으로 여의도 금융가 여론 반영의 일면이 없지 않다고 본 데 따른 것 같았다.
  애초 기금본부의 전북혁신도시 이전을 여의도 금융가가 적극 가로막고 나섰다. 그러나 국민연금공단이 전북혁신도시로 이전이 확정됐고 실행되고 있는 마당에 기금운용본부만의 분리 잔류는 있을 수 없는 일로 결국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여의도 금융가의 주장인즉 당시로서는 일리가 없지는 않았다. 전북혁신도시의 금융환경이 여의도에 비해 미숙하고 금융전문직 종사자들의 지방생활 적응이 힘든 일면이 없지는 않다.
  그러나 그 같은 사유가 기금본부의 서울 분리 잔류 주장을 충족시킬 만큼의 타당성을 갖지는 못했다. 전주도 서울 부산에 이은 제3금융도시로의 진화가 시작됐다. 전국 11개 혁신도시들에는 각 분야 전문직들이 서울을 떠나 현지로 이주했거나 기러기 가족으로 산다. 금융 전문가들만이 예외가 될 수는 없다.
  그런데도 여의도 금융가의 여론이 잠재워지지 않는 것은 공교롭게도 전북 이전을 전후한 기금본부의 인사 공백사태가 빌미가 되는 것 같다. 기금본부가 삼성물산 제일모직 합병 관련 적폐청산 파문에 휩쓸렸고 본부장 급 인사 사법처리가 이어졌다.
  인사 등 직무 분위기가 얼어붙을 수밖에 없다. 운용본부장 장기 공백과 실장급 고위직 9명 중 5명의 공석에 투자 관련 179명 중 30여 명이 부족하다고 들린다.
 여의도 여론은 이를 적폐 청산 파문 보다 전북 이전 리스크로 돌려 재 이전 주장을 편다. 말이 되지 않는다. 이전 뒤 운용수익률이 7.28%로 기록적이었다. 시스템 운용이 여전히 건전함을 말해준다.
  서울 재 이전 주장 등 어떤 흔들기도 기금본부의 정착과 발전에 위해하다. 적극 대처에 나서야 하겠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