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지방선거 과정에서 송하진 도지사의 공약을 분석한 결과, 생활밀착형 정책 및 지역 성장전략 등에 대한 후속 대응책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전북연구원은 30일 지난 민선7기 지방선거 과정에서 17개 시·도지사 후보들의 정책공약을 분석한 ‘빅데이터로 본 민선7기 지방선거의 의미’라는 이슈브리핑을 통해 17개 시·도지사 후보들은 청년, 도시, 일자리, 산업 순으로 높은 빈도를 보여 도시활력 분야를 주요한 정책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선거에서 17개 광역시도지사 후보들은 청년, 도시, 일자리 순으로 청년인구감소와 청년실업률 등에 따른 도시활력문제를 지역에서 시급히 해결해야 할 이슈로 파악했다.

반면 전북도지사 후보들은 공약에서 새만금, (자동)차, 청년 등의 순으로 지역의 가장 큰 현안으로 떠오른 군산GM공장 폐쇄에 따른 대안과 청년인구감소 등 지역경제 활력에 집중했다.

17개 광역도지사와 전북도지사 후보들의 후순위 공약을 보더라도 17개 광역도지사 후보들은 시민, 안전, 복지 등 삶의 질 관련 정책들이 눈에 띄었지만 전북도지사 후보들은 농업, 일자리, 경제 등 산업경제관련 정책들이 집중돼 있었다.

또 시민들의 정책수요를 파악하기 위한 소셜미디어를 분석한 결과에서 전국적으로 지역, 복지, 개발, 교육, 여성 등 시민들의 삶과 밀착된 형태의 정책수요가 많은 반면, 전북도민들은 군산,경제, 여행, 사업 등 대체로 지역개발 관련 수요가 많았다.

전국 시도지사 공약과 전북도지사 공약 및 언론, 소셜미디어 분석결과를 송하진 도지사의 101대 공약과 비교하면 전국적으로 1, 2순위인 청년이슈가 송하진 도지사는 10순위에 있어 청년정책에 대한 관심과 보완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또한 미세먼지, 안전, 건강, 여성 등 삶의 질 관련 정책이 송하진 도지사 공약의 빈도우선순위 10위안에 들어가 있지 않아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생활밀착형 정책에 대한 관심의 필요성도 대두됐다.

아울러 전국 이슈인 일자리, 지역산업, 4차산업 혁명대응 등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의 구체적인 실천전략 모색이 후속작업으로 추진돼 도민들의 정책적 수요에 대한 지속적인 피드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김동영 전북연구원 박사는 “지방선거 빅데이터 분석결과를 전북도 민선7기의 정책방향설정에 참고해 공약 외에 새로운 아젠다를 설정하는데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김대연기자·re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