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에 초대형 태양광 단지 설치를 놓고 찬반 의견이 엇갈리고 있는 가운데 전북개발공사가 사업 참여를 검토하고 있어 새만금 태양광 단지 설치가 전면적으로 가시화되고 있다.
전북개발공사는 30일 정부의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에 부응하고 새만금지역에 정부가 추진중인 재생에너지 발전사업(2.2GW)을 위해 ‘새만금지역 태양광 발전사업 기본구상 및 타당성조사 연구용역’을 발주했다.
전북개발공사는 새만금지역 내 신재생에너지 산업부지 일부를 활용해 300MW급 수상태양광 발전사업에 직접 참여할 계획이다.
용역은 ▲공공성, 경제성, 지역성, 규모의 경제성, 지역경제 활성화 및 지역개발 촉진성 분석 ▲재생에너지사업과 부동산개발사업 등 간의 장·단점 비교 검토 ▲새만금지역내 최적의 태양광발전 추진환경과 적정규모 등 제시 및 공사비 비교 검토 등이 포함된다.
이처럼 전북도 산하 공기업인 전북개발공사가 본격적으로 새만금에 태양광 단지 개발사업에 뛰어 들면서 전북도 역시 정부의 정책방향에 동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2030년까지 전체 발전량의 20%인 30GW(원자력 발전소 30개 발전용량)를 재생에너지로 대처할 방침이며, 올해부터 2020년까지 새만금에 1.3GW의 신재생 에너지 발전시설과 함께 2022년까지 태양광(육상·수상)과 풍력 등 2.2GW의 발전시설을 설치할 계획이다.
문제는 입지와 지역과의 상생이다. 태양광 시설의 경우 통상 수명이 30년인 점을 감안한다면 대규모 발전시설이 들어 선 뒤 최소 30년 동안 해당부지의 개발이 제한 될 수밖에 없다.
보통 신재생에너지는 설치된 후 공급의무자와 사업자 간의 계약체결 기간은 20년이다. 이후 10년이 연장될 수 있다. 때문에 지난 1989년 개발계획 수립 후 무려 30년 동안 진행된 새만금 개발이 신재생에너지로 인해 또다시 30년이 늦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이처럼 알짜배기 땅을 내줄 수 없단 반대론과 수익금 재투자의 선순환이 장기적인 새만금 개발에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찬성론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어 합의점을 찾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도 관계자는 “도민과 지자체 입장에서는 새만금에 최첨단 기업이 들어오길 바라지만 현실은 녹록치 않다”며 “민자 유치가 더딘 상황에서 선순환 구조를 만들고 구체적인 지역상생 약속이 전제 된다면 태양광 단지를 꼭 나쁘게만 바라볼 문제는 아니다”고 말했다./김대연기자·re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