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김제시 백구면 일원이 정부가 추진하는 스마트팜 혁신 벨리로 선정됐다. 정부가 올해 안 선정키로 한 전국 4곳 중 1차 2곳 선정에서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면 일원과 함께 한국 스마트팜 확산의 마중물이라는 큰 역할을 맡게 됐다.
  김제 백구의 스마트팜 벨리 1차 대상 선정은 당연한 일이기는 하나 쉬운 일은 아니었다. 전국서 8개 자치단체가 한국농업 첨단화의 선도 역할을 맡겠다며 신청을 내 사실은 격심한 경쟁을 치렀다. 농업환경이 유사한 이웃 전남과의 1차 대상지 선정 경쟁은 결과가 예측 불허였다고 알려졌다.
 전북 선정이 당연한 것이기는 하다. 전북이 아시아 스마트 농생명 벨리 조성 사업을 전국 최초로 기획 추진했다. 문재인 대통령의 전북 지역공약 1호이기도 하다. 정부의 스마트팜 혁신벨리 사업도 그에서 비롯됐다고 들린다.
  전북 혁신도시는 사실상 농생명기관 도시다. 농촌진흥청을 비롯해 한국의 스마트 농생명산업을 선도하고 지원할 농업 관련 국가기관과 연구기관 대학들이 집적돼 있다. 한국 농업의 두뇌고 심장이기도 하다.
  스마트 농생명 산업을 시장화하고 현장화 할 5대 농업 클러스터도 전북에 몰려 있다. 김제의 종자와 ICT농기계, 익산의 식품단지, 정읍 순창의 미생물, 새만금의 첨단 농업단지 등이다.
  우리나라 스마트팜은 아직 로봇과 지능형 농기계를 사용하는 자동화 이전의 단계로 알려져 있다. 김제 스마트팜 혁신 벨리가 전북은 물론 한국 스마트팜의 마중물은 물론 세계 최선진의 일본과 네덜란드 수준을 따라잡는 기술 발전 선도기능과 역할을 하게 된 것이다. 막중하다 하지 않을 수 없다.
  관련 연구보고서는 스마트팜 도입 시 27.9%의 생산량 증가, 고용 노동비용 16% 절감, 병해충 53.7% 감소 등의 능률과 효과를 올린다고 밝히고 있다. 스마트팜은 많은 자본과 기술 인력을 요구한다. 대기업 참여가 불가피하다.
  그 때문에 정부의 스마트팜 혁신 벨리 사업 대상지 선정에 농민과 농민단체 등의 반발이 없지 않았다. 일본은 파나소닉 후지쓰 등 세계적 IT 대기업이 참여한데 반해 한국은 LG CNS 등이 새만금 농업단지 스마트팜 사업에 참여했으나 농민 반발로 무산된 바 있다. 극복해야 할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