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적 유치경쟁을 펼친 ‘스마트팜 혁신밸리’가 김제 백구에 유치되면서 농도 전북의 위상은 한 층 높아질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특히, 전북은 이번 공모에서 민선 6기부터 지속적으로 추진한 미래 농업 관련 인프라 투자의 높은 호응을 얻었으며, 사업추진 계획 역시 기존의 스마트팜 ‘확장’ 성격이 아닌 ‘혁신’이라는 점을 집중 부각했다.
‘혁신’을 바탕으로 인근 지역 농민들과의 상생을 강조했고, 나아가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인력양성 등 전후방 산업으로의 추진을 강점으로 내세웠다.
▲유치 추진 배경 및 필요성=한국 농업은 시장개방에 따른 수익성은 악화되고, 농가 고령화는 심화되고 있는 동시에 청년인력 유입은 미흡, 노동력 부족과 생산성 둔화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는 농업에 대한 성장 동력 약화로 이어져 최근 10년간 농업의 실질 성장률과 소득은 정체 수준을 면치 못하고 있는 상황으로 전북 또한 별반 다르지 않은 상태다.
반면, 농업에 ICT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팜’은 농가당 좁은 경지면적, 높은 농지가격, 인력감소 등의 제약을 가진 우리 농업에 경쟁력제고 및 양질의 지속가능한 청년·지역 일자리를 창출할 대안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이에 송하진 도지사는 민선 7기 농업분야 대표 공약으로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을 내걸었고, 전북이 조성지로서 최적지임을 대내외에 적극적으로 설명, 설득하는 등 사업유치에 강력한 의지를 내비춰 왔다.
특히, 농식품부가 요구한 ‘청년보육센터(실습농장)’, ‘스마트팜 실증단지’, ‘임대형 스마트팜 단지’ 등의 집적화 3대 핵심(필수) 기능을 충족시키는 곳이 전북(김제)임을 강력히 주장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했다. 
▲치열한 경쟁에서 전북이 선정된 배경=전북은 타 지역에 비해 스마트팜과 관련한 최고의 농생명 연구개발 인프라가 집적화 돼 있다는 강점이 있다.
유치 지역인 김제시 백구면 인근에는 농촌진흥청과 실용화재단, 종자산업진흥센터, 국가식품클러스터, 전자부품연구원 등이 위치해 있다.
도는 이 같은 우수한 객관적 기반을 이용해 연구-실증-검인증 체계를 구축, 기술혁신을 앞당기고 이를 통해 농업과 전후방 산업간 동반혁신이 가능하다는 점을 어필, 평가단의 높은 점수를 받았다.
또 기존농가의 노후화된 시설을 스마트팜으로 전환하는데 주력하고, 지역의 통합 마케팅 조직을 통해 판로를 일원화하는 등 생산·유통을 지역 농업인 중심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농식품인력개발원에서 자체 스마트팜 교육을 지속적으로 운영해 왔으며, 지난 2월에는 농식품부 창업보육 시범운영 기관으로 선정돼 교육 강사진 및 운영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이 밖에도 농생명 S/W 융합 클러스터 등을 통한 ICT 연구개발 경험의 이점도 이번 유치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치에 따른 기대효과=이번 스마트팜 유치로 전북은 대한민국 농경문화 발상지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첨단농업까지 아우르는 명실상부한 ‘농생명 산업의 허브(메카)’로 발돋움하게 됐다.
스마트팜 창업 생태계 조성을 통한 청년유입 촉진으로 농촌지역 고령화 및 인구감소 문제 해결, 지속가능성을 제고할 기회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청년보육생들은 교육과 실습 등을 통해 스마트팜 및 ICT기업 창·취업, 전문재배사, 컨설턴트 등의 진로가 확장될 것이란 전망이다.
또한, 스마트팜 관련 H/W, S/W의 표준화 및 국산화로 농생명 전후방 산업의 동반성장 및 종합화된 스마트팜 플랜트 구축으로 해외 수출시장 개척도 기대된다.
이밖에도 노후시설 스마트화를 통한 생산성·편의성 제고 및 농업인의 삶의 질 개선은 물론, 청년보육 및 실증단지 관련 교육생, 연구인력, 국내외 체험, 방문객 유치 등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도 큰 기대를 낳고 있다.
/유승훈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