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가 아시아 스마트 농생명밸리조성을 꿈꾸며, 선도사업으로 준비해온 스마트팜(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을 활용해 최적의 생육환경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농장) 혁신밸리 조성사업이 농식품부 공모에 선정 돼 야심차게 추진하는 아시아 농생명 허브의 꿈이 이제는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지속가능한 농업 실현을 위한 청년 창업과 한국형 스마트팜 산업 인르로 구축 및 스마트팜 선도 혁신거점 조성, 신 소득작물 발굴 및 농가 보급확대로 추진된다.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전국 18세~39세 청년을 대상으로 매년 50명을 선발해 2년간 교육과 실습으로 스마트팜 인재를 양성하게 된다. 스마트팜 혁신밸리 체계는 교육과 실습을 통한 스마트 기술과 SW, 기자재 등을 기존 비닐하우스 농가 등에 지원하고, 창업도 가능해 송하진 지사의 삼락농정을 실현시키는 원동력이기도 하다.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대기업이나 대농 등 특정기업이 운영하는 것이 아닌 전북도와 전북대학교, 지자체 등에서 실시되고, 유리온실과 부지, 기자재 등도 공공기관의 소유여서 일각에서 대기업에 흡수될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스마트팜에 구축되는 교육, 실증 및 임대형 시설 소유권도 국가와 지자체로 귀속되기 때문에 공적 영역 안에서 관리된다.
내년 30명을 시작으로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문재인 대통령 지역공약 1호 인 아시아 스마트 농생명밸리를 성공으로 이끄는 첫 걸음이기도 하다. /편집자

청년농업인 육성 필요성에 방점=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사업은 문재인 정부의 혁신성장 국정과제로 선정돼 스마트팜 청년창업 생태계 조성과 기술혁신의 기능이 집약화된 첨단농업의 거점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국내농업은 시장개방에 따른 수익성은 악화되고, 농가 고령화는 심화됨과 동시에 청년인력의 유입은 미흡해 노동력 부족, 생산성 둔화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농업에 대한 성장 동력 약화로 이어져 최근 10년간 농업의 실질 성장률과 농업소득은 정체 수준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농업에 ICT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팜은 농가당 좁은 경지면적(미국 175ha, 한국 1.5ha), 높은 농지가격, 인력감소 등의 제약을 가진 우리 농업에 경쟁력 제고 및 양질의 지속가능한 청년?지역 일자리를 창출할 대안으로서 부상하고 있다.
송하진 도지사는 전라북도가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에 최적지임을 대내외에 적극적으로 설명하고 민선 7기 공약으로 내걸며 사업유치에 사활을 걸고 추진해 이번에 성공한 것이다.

혁신밸리 3대 핵심 기능=스마트팜 혁신밸리의 3대 핵심(필수)기능은 청년보육센터(실습농장), 스마트팜 실증단지, 임대형 스마트팜 단지다. 전북도는 3대 핵심(필수) 기능을 최대 집적화할 수 있는 김제시 백구면 영상리?월봉리 일원에 전북대학교와 김제시, 한국농어촌공사 전북지역본부 등이 협력해 혁신밸리 조성과 운영을 하게 된다.
스마트팜 청년인재 육성은 전북 농식품인력개발원에서 청년창업보육 시설운영 및 교육을 맡아 추진한다. 전북 농식품인력개발원 인근에 있는 전북대 소유부지에는 전북대학교에서 스마트팜 실증단지를 조성?운영한다.
3㎞ 인근 김제시 소유부지(월봉리)에 청년보육 수료자가 입주할 임대형 스마트팜을 조성해 창업과 관련SW, 컨설턴트 등을 할 수 있는 스마트팜 인재를 최종적으로 양성하게 된다.
청년들이 창업보육센터에서 스마트팜 농산업분야에 도전(진입)하고, 성장하는 청년 창업생태계 조성을 통해 유능하고 참신한 청년의 창?취업을 지원?유도함으로서 지속가능한 농업?농촌을 실현 가능하도록 했다.
전북도는 임대형 스마트팜을 통해 청년들이 적정 임대료만 내고 스마트팜 창업이 가능하게 되어 초기 리스크를 완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임대기간은 3+2년(기본 3년, 최대 2년 연장가능이고 임대면적은 0.5~1ha정도다.
스마트팜 청년 보육 참여자는 창농 뿐만 아니라 스마트팜 관련된 ICT기업 창?취업, 전문 재배사, 스마트팜 컨설턴트 등 다양한 농업 전후방 산업으로 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스마트팜 실증단지= 농민단체 등과 함께 농업인이 원하고,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기자재 및 제품을 개발해 전시?체험 공간에서 농업인과 전후방 산업체가 함께 공감하고 동반성장하는 혁신모델을 실천해 나가게 된다.
전라북도 실증단지는 한국형 스마트팜 모델 개발을 위한 온실 시공, 지능형 농기계 등의 HW업체, 각종 센서 및 ICT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SW업체의 니즈(needs)를 반영하여 실증 단지 설비?장비내역를 계획했다.
혁신밸리 실증단지에 참여의사를 가진 25개 기업 중 전라북도 농생명 S/W 융복합 클러스터참여한 기업이 12개사가 포함되어 있어 조기성과 도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전북는 25개 참여기업과 함께 ICT 기자재 표준화, 빅데이터, R&D 등으로 산업 인프라를 구축하여 스마트팜의 국산화율을 높이고, “세계 최고 수준의 온실 환경제어 시스템을 생산하는 한국형 프리바(Priva)를 육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향후 중동, 중앙아시아 등 전략 지역에 온실시공-설비구축-운영까지 포괄하는 스마트팜 플랜트를 수출할 수 있는 연구사업단도 운영할 계획이다./장병운기자·argus@

최재용 전북도 농축수산식품국장

최재용 전북도 농축수산식품국장은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대기업과 대농을 위한 것이 아니라 청년들이 전북농업에 들어올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최 국장의 이 같은 말은 일각에서 대기업과 대농을 위한 사업이 아니냐는 의구심을 씻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스마트팜 혁신밸리 부지와 온실, 기자재 등은 전북도와 전북대학교, 김제시의 소유이기 때문에 교육이후 4~5년 후 자연스럽게 대기업 등으로 흡수될 것으로 보고 있는 우려를 말끔히 씻어주는 것이기도 하다.
최 국장은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전국 18~39세 미만 청년을 대상으로 2년 동안 교육과 실습을 통해 스마트팜 인재를 키우는 것”이라며 “매년 50명 가량 3월~4월에 입학해 20개월 동안 교육과 실습으로 스마트 농부와 창농, ICT기업 창업과 취업, 전문 재배사, 컨설턴트 등 다양한 산업으로 진출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최 국장은 구체적인 교육일정과 실습 등을 제시했다. 스마트팜 혁신밸리에 들어온 청년은 20개월 동안 김제 백구에 있는 농식품인력개발원에서 2개월 이론교육을 하고, 5~6명이 한조를 이뤄 6개월 간 교육형 실습농장에서 스마트팜 농사를 짓게 된다. 또 2인 1조로 1년 동안 200평 규모에서 실습교육 과정을 거치면 졸업하게 된다.
최 국장은 “졸업생 진로는 스마트팜 창업으로 농사꾼이 되는 길을 선택하는 졸업생에게 15명 가량 선발해 특히 자본이 없는 창농자를 대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농사를 짓을 수 있도록 3년간 임대형 스마트팜을 운영하도록 했다”라고 했다.
또 내년까지 농생명 SW클러스터 140개 참여기업 가운데 40곳이 창업, SW와 기자재를 현장에서 검증 평가할 수 있도록 한 것도 스마트팜을 성공시킬 수 있는 핵심이라고 밝혔다.
최 국장은 “대형 축구선수가 감독과 코치의 도움으로 성장하듯이 스마트팜 인재도 네널란드처럼 컨설턴트로 육성해 스마트팜 혁신밸리를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그는 “도내 온실의 경우 3000평일 경우 50억이 투입된다”라며 “현재 도에서 비닐하우스 150억원 지원사업이 있는데 스마트팜 혁신밸리의 성과물을 비닐하우스에 접목시키면 농민예산은 줄고 농사는 편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최 국장은 “스마트팜은 보람찾는 농업, 제값받는 농민, 사람찾는 농촌인 송하진 지사의 삼락농정의 핵심”이라며 “향후 문재인 대통령의 지역공약 1호인 아시아 스마트 농생명밸리를 이끄는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