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농생명 수도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무조건적인 첨단화 방향의  정책 추진이 아닌 ‘전통 농도’로서 구축돼 있는 지역 기반과의 연계가 중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아울러 ‘스마트팜 혁신밸리’ 성공을 위해서 고부가가치 작물 선정이 필수적이며, 이는 지역 교육 및 연구기관과의 연계에 답이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전북도와 전북생물산업진흥원(이하 생진원)은 지난 10일 ‘전북 혁신성장·미래비전 기획단’ 활동으로 수립한 전북 농업·농촌(농생명·농식품) 분야의 미래발전 핵심 과제를 구체화하고, 실천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산·학·연 전문가 세미나를 개최했다.
도와 생진원은 향후 전북의 미래 먹거리를 발굴하고, 향후 30년을 내다보는 농업·농생명 분야 발전상을 제시하기 위해 전북연구원과 공동주관으로 종자, 첨단농기자재, 스마트팜, 식품, 융복합 신산업 등 5대 핵심프로젝트, 36개 핵심 과제를 발굴했다.
5대 핵심프로젝트는 ▲글로벌 종자산업 메카 실현 ▲첨단 농기자재 혁신기반 조성 ▲스마트팜 밸리 조성 ▲식품클러스터 글로법 거점화 ▲생물자원 소재 융복합 플랫폼 구축 등이다.
이들 5대 프로젝트는 각각 3단계로 추진되며, 1단계는 내년부터 오는 2025년까지, 2단계는 2026년부터 2035년까지, 3단계는 사업에 따라 2035년부터 2037~50년까지로 계획됐다.
세미나에 참석한 김영수 전북대 교수는 “전북이 대한민국 대표 농생명 수도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타 도와의 오버랩(중복) 정책을 탈피해야 하고, 현재 타 지역에 비해 뒤쳐져 있는 정책을 우선 고려해야 한다”며 “실례로 새만금을 기반으로 한 여러 분야의 발전가능성이 충분함에도 해양생물 자원화 정책이 제주도와 전남 등에 비하면 상당히 미진한 상태”라고 지적했다.
이민수 한국농수산대 교수는 “향후 전북 농업 발전의 큰 역할을 하게 될 스마트팜 혁신 밸리의 경우, 특정 지역뿐만 아니라 동부권으로 까지 확대·연계 추진할 필요가 있다”며 “하지만 무조건적인 첨단화 추진이 아닌 지역의 자연·문화·환경적 기반과 연계돼야 특성화를 이룰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영미 원광대 교수는 “스마트팜의 재배작물 선정이 굉장히 중요하다. 투자대비 효율성이 높은 고부가가치 작물로의 접근이 필요하다”며 “이미 지역 대학 및 연구기관 등에는 특화작물 등의 많은 연구가 이뤄져있고, 이를 스마트팜에 적용한다면 영세 농민들과의 마찰 최소화는 물론, 타 지역과 경쟁을 이룰 수 있는 작물 및 시제품을 발굴할 수 있고, 나아가 나중의 특허권 확보에도 용이할 것으로 본다”고 언급했다.
이어 이 교수는 “향후 전북 농생명 산업을 실제적으로 이끌어갈 인력양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정책 추진과정에 지역 대학 등과 교류 및 연계를 통한 교육과정 수립 등을 통해 지연인재를 적극적으로 길러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최재용 도 농림수산식품국장은 “전북의 새로운 대도약과 발전 미래상을 모색하는 매우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며 “전북 농업·농생명 산업이 이미 가진 특화된 장점을 잘 살려 내기 위한 핵심과제의 실현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중앙부처의 정책방향에 맞춰 산·학·연·관의 신속한 대응과 긴밀한 협력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유승훈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