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2분기 하위 40%(1~2분위) 가계의 명목소득이 역대 최대 수준으로 급감했다.
반면, 소득 상위 20%(5분위) 가계의 명목소득은 역대 최대의 급증세를 보이는 등 소득분배지표가 더욱 크게 벌어졌다.
정부는 고령화 심화와 함께 업황부진에 따른 고용부진이 저소득층과 고소득층의 소득 격차를 벌리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2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2분기 소득부문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소득 최하위 20%(1분위) 가계의 명목소득(2인 이상 가구)은 월평균 132만5,000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7.6% 줄어들었다.
감소폭은 1분기(-8.0%)보다는 완화됐지만, 2분기 기준으로는 2003년 통계집계가 시작된 이후 가장 크다.
특히, 근로소득은 15.9%, 사업소득은 21.0% 급감해, 가파른 소득 감소세를 이끌었다.
차하위 계층인 소득 하위 20~40%(2분위) 가계의 명목소득은 280만200원으로 1년전 같은 기간보다 2.1% 줄어들어 역시 1분기(-4.0%)보다는 완화됐지만 2분기 기준 최대 감소율을 기록했다.
반면, 소득 최상위 20% 가계의 명목소득은 월평균 913만4,900원으로 10.3% 증가해 역대 최대폭으로 늘었다.
차상위 계층인 소득 상위 20~40%(4분위) 가계의 명목소득 역시 4.9% 늘어 2014년 1분기(5.0%) 이후 최대폭 증가했다.
상하위 가계의 소득 격차가 벌어지면서 2분기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전국 2인 이상 가구)은 5.23배로 1년 전(4.73배)보다 0.50 상승했다.
처분가능소득은 소득에서 세금이나 사회보장부담금 등 비소비지출을 제외하고 자유롭게 소비 지출할 수 있는 부분인데, 5분위 계층의 평균소득이 1분위의 평균소득 보다 5.23배 크다는 의미다.
정부는 인구 고령화와 업황 부진으로 소득 격차가 확대됐다고 판단하고 있다.
일하는 이가 적고 소득도 낮은 고령층 가구가 1분위 안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년보다 더 커졌다는 것인데, 1분위 내 70대 이상 가구주의 비중은 작년 2분기 35.5%였지만 올해 2분기 41.2%로 5.7%포인트 늘어났다.
또 업황부진으로 1분위 비중이 높은 도소매·숙박음식업에 종사하는 임시일용직 고용이 축소됐고,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도 줄었다는 설명인데, 이 계층 일자리는 올해 2분기에 전년동기대비 7배 이상 줄었다.
아울러 건설투자 둔화에 따른 건설 일용직 취업자 감소도 1분위 소득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반면 5분위는 임금 상승 폭이 확대되고 고용증가로 소득이 늘며 격차를 벌렸다고 정부는 보고 있다.
실제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 기준 평균 임금 상승률은 작년 4~5월 3.8%였지만, 올해 같은 기간은 4.4%로 높아졌고, 상용직 취업자도 전년동기비 크게 늘었다.
이 밖에 5분위 가구당 취입인원수도 많아 소득분위별 가계소득 격차 확대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 양질의 일자리 확충을 통해 소득분배를 개선키로 했다.
정부는 저소득층 일자리·소득지원대책, 소상공인·자영업자 지원대책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한편, 일각에서는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과 근로시간 단축의 경직적 시행이 1분위에 타격을 준다는 주장도 나오고있다./황성조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