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경제는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가동중단, 한국GM 군산공장 폐쇄 등으로 2년 연속 0% 대의 경제성장률을 면치 못하고 있으며 경제 저성장은 고용절벽의 악순환으로 이어지고 있다. 2017년 하반기 77개 도시의 고용률에 관한 통계에 따르면, 익산시 77등, 군산시 76등, 전주시 73등에 랭크되어 있다. 전북지역은 사상 최악의 고용 한파를 맞고 있다.

청년 고용이 양적·질적 측면 모두에서 악화 되고 있는 요즘, 취업이 어려워지면서 헬(hell)조선, 알바인생, 열정페이, N포세대라는 암울한 단어가 국가의 미래를 책임져야 할 청년들을 대표하는 단어가 되었다. 정부는 이러한 청년 일자리 문제를 국가의 명운이 달린‘시대적 과제이자 소명’으로 받아들이고, 일자리 창출을 위해 막대한 예산을 쏟아부으며 다양한 지원정책을 내놓고 있지만, 정부 정책이 청년들의 삶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전북지역의 청년 순 유출은 전국 2위로 나타나고 있다. 양질의 일자리를 찾아 고향을 등지고 있는 청년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청년들이 떠나 생동력을 잃고 있는 전라북도는 청년실업 구제를 위한 특단의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다.

한편, ‘청년창업’은 청년 인구 유출을 방지하고 실업난을 해결하는 대안으로 부각되면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다양한 지원정책을 쏟아내고 있다. 하지만, 5년 이상 창업기업의 생존율은 27.3%에 그치고, 10개의 기업 중 8개의 기업이 5년 내에 문을 닫고 있는 실정이다 보니, 청년들의 창업에 대한 꿈은 위축되고, 관심 밖으로 멀어지고 있다. 청년 창업가들이 마음 놓고 창업을 꿈꾸고 실행에 옮기기 위해, 청년 창업 지원제도도 새로운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다.

먼저, 창업가들이 사업 아이템과 기업 활동에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줄 필요가 있다. 창업 초기 기업들은 자금뿐 아니라, 입주 공간 선정, 회계, 세무, 법무 등 경영과 관련된 제반 사항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예비 창업가들이 오롯이 창업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다양한 분야를 One stop으로 지원해주는 접근이 필요한 이유다.
 
둘째, 청년창업에 대한 무분별한 지원은 지양해야 한다. 철저한 준비나 굳은 각오 없이 창업에 뛰어들었다가, 현실의 높은 장벽에 부딪혀 실패하는 청년들의 사례가 끊이지 않고 있다. 올바른 청년 기업가들이 탄생할 수 있도록 선별적인 지원과 지원 사업 내 경쟁 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 

셋째, 지속적인 연계지원으로 창업기업의 혁신성장을 견인해야 한다. 창업 초기 반짝 지원이 아닌 체계적인 연계지원을 통해 청년 창업가들이 창업 후 겪게 되는 어려움을 사전에 방지하고, 솔루션 제공을 통해 창업 기업 생존율을 높여야 한다.

오는 9월에 개소되는 전북 청년창업사관학교는 성공 창업에 주안점을 두고, 실질적이며 지속적인 지원정책을 펼칠 예정이다. 창업 활동을 위해, 1년간 총사업비의 70% 이내(최대 1억 원)에서 시제품 제작, 기술개발 등 사업비 지원, 사업 공간 제공뿐 아니라, 투자심사역, 전문가들의 1:1 멘토링, 실무 교육, 마케팅에 이르기까지 풀 패키지(Pull package)를 지원한다.

`사관학교`라는 이름에 걸맞게 강도 높은 교육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3.9대 1’의 높은 경쟁률이 말해주듯 입학도 어렵지만, 중간평가를 통해, 불성실하고 사업 수행능력이 미달된다고 판단될 경우 입교자의 약 10%가량을 중도 퇴교 조치할 예정이다. 반대로 중간평가에서 좋은 평가를 얻게 되면, 보조금 등 추가 지원 혜택이 주어진다.

아울러, 졸업 이후 죽음의 계곡(Death-valley)를 극복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사업화 정책자금(최대 50억원), 수출마케팅, 기술·인력 지원 등 중소기업진흥공단의 지원 사업을 연계지원한다.

창업이 목표가 되어서는 안 된다. 지속성장이 목표가 되어야 한다. 전북청년창업사관학교를 통해 창업기업이 국가대표 기업으로 성장하고, 지역 내 많은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지역경제 활성화의 초석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