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팜의 생산 유통 연구개발 기능을 집적한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 사업지로 전국 4곳 중 김제시가 선정됐다. 정부는 청년농을 육성하고 기술혁신을 추구한다는 목적 아래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을 추진하고 있으며, 김제시는 내년부터 해당 사업에 착공한다. 그런데 농민단체는 스마트팜 혁신밸리가 농업 진출을 바라는 대기업의 우회도로가 될 것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시설작물 과잉 생산과 농민의 의견 수렴 부족 등을 이유로 사업 철회까지 촉구하고 있다. 농민단체는 스마트팜 혁신밸리에 투입될 예산이 한계에 다다르면 결국 대기업이 시설을 인수해 운영하게 된다고 우려한다. 또 시설작물 과잉 생산으로 가격이 폭락하면 빚을 얻어 이를 생산했던 청년농부들을 빚쟁이로 만들고, 다른 농업인들까지 피해를 준다고 주장한다. 국가가 현재 할 일은 유통구조를 혁신해서 농업인 소득을 보전해줘야 하는데, 공급과잉으로만 가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여기에 사업을 추진하면서 농민단체와 토론이나 공청회도 없었다고 책임자들의 엄중 문책을 요구하고 있다.
반대로 정부 측의 논리도 팽팽하다. 스마트팜 혁신밸리의 생산은 농민이 담당하고, 기자재·식품·바이오 분야 등 전후방 기업들은 기자재 실증과 R&D만 담당한다는 것이다. 정부는 이런 기술혁신이 농가 경영비 절감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지자체 책임 아래 운영되는 시설들은 매각 및 양도 등을 제한하도록 장치가 마련됐다는 것이다. 아울러 2022년까지 청년 600명에게 20개월간 이론 및 경영실습을 제공하고, 이후 상황에 따라 창업을 돕도록 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수급에 미칠 영향을 최소화할 다양한 방법을 강구하고, 특정 품목에 생산이 쏠리지 않도록 하겠다는 약속도 했다. 특히, 청년을 농업에 유입하고, 전후방 산업의 기술혁신을 유도하며, 판로에 유리한 생산시스템을 구축하면, 계약재배도 촉진되고 농민에게도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이밖에 그동안 빠졌던 농민단체의 소통도 적극 진행하기로 했다.
양 측의 주장은 상당히 논리적이다. 하지만 서로 전부 아니면 전무를 주장해서는 발전이 없다. 갈등으로 평행선을 달려서는 안 된다. 일부 전문가들은 효율적 방식의 스마트팜 혁신밸리 운영을 주문하고 있다. 운영 주체도 명확히 하고, 청년 농업인이 제대로 교육받으면서도, 기업이 아닌 농업인에게 도움이 되는 운영 방안들이 나오기도 한다. 스마트팜 혁신밸리의 효율적 운영이 정부와 농민단체의 소통에서도 논의되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