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정상이 지난 5.26 회담 이후 넉 달 만에 평양에서 다시 만나게 되면서 문재인 대통령의 비핵화 협상 중재에 시선이 모아지게 됐다. 3차 남북회담 이후 이어질 유엔총회 한미정상회담을 통한 문 대통령의 비핵화 중재와 연내 종전선언까지 그 여정은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북미는 6.12 싱가포르 정상회담 이후 서로 선제 조치를 요구하며 맞서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달 말 예정됐던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의 방북이 갑작스럽게 무산되면서 북미간 교착상태는 표면화됐다.

3차 정상회담은 그런 의미에서 문 대통령의 중재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문 대통령이 북한의 실질적인 비핵화 조치를 어떻게 견인할지가 사실상 이번 회담의 성패를 가르게 될 것으로 보인다.

다행스럽게도 이번 대북특사단을 통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실현의 확고한 의지를 재확인해줬다.

6일 특사단 대표를 맡은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신뢰한다”고 언급하고 “이러한 신뢰의 기반 아래 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 내에 북한과 미국간 70년 적대 역사를 청산하고 북미 관계를 개선해 나가면서 비핵화를 실현하자”며 비핵화 실현 희망사항을 분명히 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는 2021년까지로, 김 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의 2020년 비핵화 시간표에 응답해준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면서도 김 위원장은 “한미동맹이 약화한다거나 주한미군이 철수해야 한다는 것은 종전선언과 전혀 상관없다”면서 풍계리 핵실험장 폭파, 동창리 미사일 실험장 폐쇄 조치에 상응하는 종전선언과 대북제재의 부분적 해제 등 ‘동시행동’도 언급했다.

남북은 3차 정상회담의 주요 의제로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실천적 방안’을 꼽았다. 문 대통령은 열흘 남짓 앞으로 다가온 평양 회담에서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의 구체적 중재안을 논의해야 한다. 비핵화 조치의 선행 조건으로 종전선언을 요구해 온 북한과 최소한의 핵 리스트 공개를 요구하는 미국 사이에서 그 간극을 좁히는 데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북측도 문 대통령의 중재 역할을 기대하는 분위기다. 정 실장은 “비핵화 해결 과정에서 북한도 남측의 역할을 많이 기대하는 것 같다”며 “문 대통령이 평양을 방문하면 비핵화 진전을 위한 남북 간의 구체적 협력방안에 관해 심도 있는 논의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도 지난 4일 한미정상 통화에서 문 대통령에게 ‘수석협상가’ 역할을 해달라고 요청한 만큼 북미 간 입장 차이를 좁히는 것이 문 대통령의 핵심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6일 오후 열린 3차 남북정상회담 준비위원회에 참석해 “특사단 방북 결과는 기대했던 것 보다 훨씬 더 좋은 성과를 가져왔다”며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그것을 위한 북미 대화 부분도 촉진될 수 있지 않을까 기대를 갖게 된다”고 말해 평양회담 이후 유엔총회 계기 한미정상회담에 가져갈 북미간 비핵화협상 중재에 긍정적 신호를 보냈다.

아울러 3차 정상회담에서는 4.27 판문점선언의 이행 속도를 높이기 위한 향후 협력방안도 두 정상의 회담 테이블에 오를 전망이다.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 등 남북경협도 풀어야 할 과제다. 금강산 관광 재개, 개성공단 재가동 등 우리로서는 비핵화가 경협의 선결 조건이라는 점을 강조해 북한의 비핵화 협상 발걸음 재촉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정 실장은 이날 오후 8시경 존 볼튼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에서 전화를 걸어 특사단의 방북결과 및 김 위원장의 메시지를 전달했다.

/청와대=최홍은기자·hiimnews@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