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 백구면 일대가 한국의 스마트 팜 선도지역으로 지정되면서 예상됐던 농민단체들의 반발이 점차 더해지는 것으로 전해진다. 반발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스마트 팜이 전통적인 생계농업을 위협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스마트 팜에 대한 농민단체들의 반발은 전북에 한하지 않는다. 정부가 한국 농업의 4차 산업화를 위한 스마트 팜 선도지역으로 우선 영호남의 전북 김제와 경북 상주를 지정한 데 이어 전국 4곳에 추가로 지정할 예정이다.
  전국 농민단체들은 정부가 스마트 팜 혁신 벨리 2곳 지정 발표 전부터 사업 저지를 위한 반대운동을 벌여왔다. 앞으로 더욱 조직화되고 거세질 우려도 있다. 농민단체들로서는 스마트 팜이 생계농업을 위협한다고 볼 상당한 이유가 없지 않기 때문이다.
  스마트 팜은 농가 개인별 생계형 전통농업과 달리 기업들이 유리온실 등의 식물공장서 작물을 대량 생산하는 상업형 첨단농업이다. 값싸고 질 좋은 농작물이 대량으로 생산 출하하게 된다. 개별 소량 생산의 전통농업을 위협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스마트 팜 산업은 시대의 요구고 대세다. 스마트 팜 선진국인 네덜란드는 토마토와 파프리카의 80%를 식물공장서 생산해 수출한다. 이웃 일본도 스마트 팜 선진국가다. 인구 대국 중국도 전통농업에만 의존할 리가 없다.
  그런데도 IT 선진국인 한국이 스마트 팜 산업서는 후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농민단체들 반대로 기업 참여가 막힌 때문이다. 일본은 파나소닉 후지쓰 등 IT 대기업이 참여해 개발한 기술을 농가에 보급하고 있다. 한국은 새만금 농업용지 스마트 팜 단지 조성에 LG CNS가 참여했다가 농민단체 반발로 철수했다.
  한국의 스마트 팜 산업은 정부의 스마트 팜 벨리 2곳 지정으로 이제 걸음마 단계라 해야 할 것이다. 김제 벨리 조성 박차와 함께 성공 확산으로 전북이 스마트 팜 선도의 사명을 다해야 할 것이다.
  그를 위해 스마트 팜 출현과 진전이 가져다 줄 전통농업의 손실 보전과 지원 확대의 병행이 요구된다. 스마트 팜 성공이 생계형 전통농업의 생존을 위협하게 될 것은 분명하기 때문이다. 스마트 팜과 전통농업 공존의 틀을 만들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