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아시아 농생명 허브 조성’을 민선 7기 도정 핵심과제로 추진 중인 가운데, 전북에 ‘국립 농업전문직업체험관’을 조성하자는 정책이 제안돼 눈길을 끌고 있다.
특히, 현재 운영 중인 국내 여러 직업체험관들의 한계점을 분명히 분석하고, 일부 계층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이 아닌 전북만이 가지고 있는 농업(농생명) 관련 인프라를 활용한 종합적 성격의 조성 제안이어서 상당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전북연구원(원장 김선기)은 12일 ‘농생명수도 전북에 국립 농업 전문직업체험관 조성하자’라는 이슈브리핑을 통해 농생명으로 특화된 전북의 강점을 살려 미래 주역인 청소년들의 농업에 대한 건전한 가치관을 형성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위기와 도전에 직면한 국가 농업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농업전문 직업체험관이 전북에 조성돼야 한다고 밝혔다.
현재 국내에는 한국잡월드(경기 성남), 키지니아(서울·부산), 키즈앤키즈(서울) 등 다양한 직업체험관이 운영되고 있지만, 대부분 초등학생 중심의 프로그램 운영과 종합적 성격의 체험관으로 농업 관련 전문적 직업체험에는 한계가 있다는 분석이다.
이성재 연구위원은 전북이 농생명 융합산업 중심의 연구개발특구와 현 정부의 공약사업으로 추진 중인 아시아 스마트 농생명밸리, 혁신성장 핵심 선도사업인 스마트팜 혁신밸리 추진 등 농생명 특화지역으로 부상 중이라고 평가했다.
이와 함께, 농촌진흥청 등 농업연구기관과 한국농수산대학, 농업의 전후방 연계 기관들이 다수 소재하고 있어 농생명 직업 관련 인프라가 상당히 우수한 만큼, 농업 전문직업체험관의 적지라고 설명했다.
이 연구위원은 농업 전문직업체험관의 기본방향으로 농업을 넘는 혁신산업 체험, 전북의 농생명 특화자원 연계·활용을 통한 함께하는 체험관, 직업체험의 지속적인 리뉴얼 및 현장체험을 제안했다.
나아가 주요시설로 농업 직업정보관·진로탐색관·직업체험관·직업설계관 등을 거론했고, 주요 체험 프로그램으로는 혁신농업 존(스마트농업, 정밀농업, 치유농업)·사회적농업 존(도시농업, 사회적경제, 자원순환)·미래농업 존(우주농업, 바다농업, 극한지 농업)·플래너 존(귀농귀촌, 협동조합, 팜파티, 농촌교육농장, 농가카페)·국가 전문기술자격 존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이 연구위원은 “농업에 ICT가 접목되면서 농업의 영역이 확장되고, 부가가치가 확대되고 있다. 농업이 미래 유망 직업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국가 차원에서 관심을 갖고, 지금부터라도 관심 있는 인재를 육성할 씨앗을 뿌려할 할 시기”라며 “파종은 시기도 중요하지만 토양도 중요한 만큼, 전북에 국립 농업 전문직업체험관이 필요한 이유”라고 설명했다.
/유승훈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