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단 주력 산업 붕괴로 지역 경제상황이 날로 위축되고 있는 가운데, 현재의 전북 경제 기반으로는 정부 및 전북도가 외치는 일자리 창출과 인구유출 억제, 경제회복 등이 불가능할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특히, 지역 경제 선순환의 중추적 역할과 함께 일자리 창출에 큰 몫을 담당하는 중소기업 대다수가 수도권 3개 시·도에 절반 가까이 밀집돼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정부의 적극적인 지역 경제 활성화 정책 추진이 자칫 ‘구호’로만 전락할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일각에서는 소위 ‘우는 아이 떡 하나 더 준다’는 식의 단기적 지원이나 정책 원조가 아닌 지역 균형발전 차원의 ‘수도권 및 비수도권 간’, ‘지역 및 지역 간’ 차원의 균형 잡힌 발전계획이 수립·추진돼야 한다는 목소리다. 
지난 12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김규환 의원이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제출 받은 ‘지역별 중소기업 사업체 및 기업부설연구소 현황’에 따르면, 전국 중소기업 사업체 360만882개 중 전북지역에는 3.6%인 13만413개가 소재 중인 것으로 분석됐다.
국내 전체 중소기업 중 48%인 172만7304개가 서울과 경기, 인천에 집중돼 있고, 나머지 52%는 14개 시·도(최고-부산 7.3%, 경남 6.8%, 경북 5.5%, 대구 5.3% 등)에 분포돼 있다.
또한, 이들 중소기업 중 기술 혁신 및 개발을 추진하기 위해 설립된 ‘부설연구소’를 보유한 기업은 총 3만8880개(전국)로 파악됐으며, 이중 64.7%(2만5171개)는 수도권에, 35.3%(1만3709개)는 14개 시·도에 위치해 있다.
전북 소재 중소기업 중 지역 내 부설연구소를 운영 중인 곳은 858개(전국의 2.2%), 연구원 수는 3396명으로 전국대비 1.7%에 그쳤다.
이 같은 지역 경제 기반 낙후 현실은 현 정부의 벤처산업 투자 현황에서도 극명하게 나타나는데, 지난 4일 동 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의원의 ‘벤처기업 대한 (지역별)인프라와 투자’ 분석 결과, 벤처기업의 수도권 및 영남권 집중 심각으로 인해 지역별 격차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위 의원에 따르면, 전체 벤처기업 3만6485개(지난 8월 기준) 가운데, 1만1161개(30.5%)가 경기도에 몰려 있으며, 서울(8516개), 부산(2304개), 경남(1872개), 경북(1716개), 인천(1644개), 대구(1639개) 등 수도권(58.4%)과 영남권(22.0%)에 집중돼 있다.
이 두 권역 외인 충청권 3860개(10.6%), 호남권 2421개(6.6%), 강원 688개(1.9%) 등의 순으로, 호남권 가운데 전북은 2.1%에 불과한 762개 기업이 위치해 있다.
지역 경제계 관계자는 “지역에 소재한 중소기업의 수는 그 지역의 경제 기반 상황 및 수준을 그대로 보여주는 척도로 해석해도 과언이 아니다”면서 “이런 지역 경제 기반이 탄탄히 마련돼 있지 않은 상황에서 추진되는 경제 활성화 정책은 사실 상 ‘모래 위의 성을 짓는 것’이나 다름없다”고 진단했다.
이 관계자는 “전국이 골고루 잘사는 것이 대한민국의 발전이고, 이를 위해서는 위기 지역에 대한 단기적 ‘선물’식의 경제정책이 아닌 자생력을 키울 수 있는 기본적·장기적 발전 계획을 마련해야 한다”며 “중소기업들도 뭔가를 창출해 낼 수 있는 기반이 있어야 지역에 오는 것이 당연한 논리고, 기반을 바탕으로 한 성공이 있어야 일자리도 창출되며, 그래야 우수한 인재들이 유출되지 않으면서 지역 경제가 활성화되는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 진다”고 조언했다.
/유승훈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