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청년농을 위한 정부사업에 일부 농업계에서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정부의 농업 예산이 뻔하고, 어려운 농가들을 도울 자금도 빠듯한데, 여기에서 청년농을 위해 너무 많은 예산을 준비한다는 것이다. 궁색한 이유 때문인지 몇몇 청년농업인 육성 사업에 각종 다른 반대논리를 내세우며 반대하고 있는 분위기다. 적절한 대안 제시 없이 억지 주장도 나온다. 정부의 현재 정책만으로 청년이 먹고 살기나 하겠느냐는 비아냥도 포함된다.
하지만 청년농업인 육성은 여타 농업·농촌의 사안들과는 차원이 다르다. 대부분 농정이 각 정책 대상에 맞춰져 추진되지만, 청년농 육성은 농촌사회의 지속성 여부와 관련된 농업정책이다. 심각한 농촌 고령화로 농촌에서 농업인이 사라지는 것에 관한 정책이기도 하다. 사람이 사라지는 농촌만은 막자는 취지에서 청년농 육성 정책이 기획된 것이다. 2000년 9만명 이상이던 우리 청년농업인이 이제는 1만명도 되지 않는다. 지난해 40세 미만 농가경영주가 9,273가구로 사상 최저치다. 전체 농가수 감소보다 청년농 감소는 더욱 심각해 현재 농가 경영주의 0.9% 비중만 차지하고 있다. 이는 다시 농촌고령화를 심화시키는데, 우리 35세 미만 대비 65세 이상 농가 경영주 비율이 2015년 140.1로 일본(89.3), 미국(2012년 5.8), 유럽연합(2013년 5.2)과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제 우리에겐 청년농이 없는 마을까지 속속 등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청년농이 사라지는 농촌을 막으려면 매년 수천명의 청년농을 농촌으로 유도해야 한다. 그런데 당장 우리 정책자금 전부를 투입해도 청년농들이 살고 싶은 농촌을 구현하기는 힘들다. 그래서 청년농들이 가장 애로사항으로 꼽는 '자금 부족'을 지원하고, 농지 및 판로를 해결해주는 정책들이 이제 막 시작되고 있다. 조사 결과, 청년농들은 지금의 정부와 지자체의 청년농 유입 정책이 매우 불만족하다고 지적한다. 우리는 아직 유렵연합과 일본 등 선진국에서 추진하는 청년농 육성 사업 규모에도 한참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유럽연합의 청년농업인 직불제나 일본의 농업 차세대 인재 투자사업까지는 아니어도 지금보다 더 강력한 청년농 육성 사업이 필요하다. 당장 배가 고프다고 내년에 심을 볍씨를 도정하는 농부는 없다. 마찬가지로 현재 농업인들의 애로사항 때문에 청년농업인 육성 정책들이 후퇴해서는 우리 농업의 미래가 없다. 오히려 적절한 대안을 제시하고, 청년농 육성을 함께 고민하는 자세가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