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가 2035년까지 계획구역 205.49㎢에 인구를 83만5000명으로, 주택을 33만5000호로 확대한다는 목표로 ‘2035 도시기본계획(안)’을 짰다. 시민공청회 등에 이어 시의회 의견 청취와 도 협의 등을 거쳐 최종안을 확정할 예정이다.
  기본계획은 전주를 한국적인 전통문화특별도시, 사람 중심의 생활복지도시, 세계적인 첨단산업 및 금융도시, 지속가능한 안전 생태도시 등 4대 이상을 목표로 했다. 도시 공간구조를 1도심(중앙) 2부도심(효자 팔복) 2지역중심(인후 완산)으로 재편하고 7.083㎢의 시가화 예정용지도 설정했다.
  도시기본계획은 전주시의 미래 모습과 시민생활을 앞서 조망해볼 수 있는 청사진인데도 시민들과 여론의 관심권서 벗어나 있는 것 같다. 공청회 등서도 특별히 주목되는 논란 등이 들리지 않는다.
  환경단체가 도심공원과 보존녹지 축소에 반론을 제기했을 따름이다. 기본계획에 가련산 건지산 천잠 인후 등 4대 공원 면적 150만㎡를, 보존녹지 400만㎡를 줄여 민간공원 조성 특례사업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에 대해서다.
  녹색도시를 지향하는 전주시정 목표에 역행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도심공원과 보존녹지 축소는 2020년 도시공원 일몰제 시행에 따른 불가피한 조치로 장기미집행 방치보다 민간공원 개발이 유익하다는 평가가 월등하다.
  2035 도시기본계획의 가장 치명적인 문제는 목표인구 설정에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목표 연도 무렵, 대한민국 총 인구가 인구절벽에 부딪쳐 되레 감소가 우려된다는 게 정설로 굳어져 있는 미래인구 예측이다.
  전주는 물론 전북은 현재도 인구 정체지역에 곧 감소지역 진입 가능성이 높다. 국토정보원이 전국 20개 축소도시 중 전북의 익산 정읍 남원 김제 4개 시를 포함했다. 인구 감소로 곧 ‘시’ 자격을 상실하게 될 도시들이다.
  한국고용정보원은 전북의 515개 마을이 주민인구 부족으로 머지않아 사라지게 될 ‘과소화 마을’로 전국의 40%에 이른다고 했다. 전주시에 도외서는 물론 도내 시군서도 인구 유입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런데도 전주시 인구를 현재의 60만서 2035년까지 23만을 늘려 83만 명으로 확대 한다. 가당할까 ? 목표인구부터 재검토돼야 한다고 믿는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