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이 대접받으려면 대도시로 가야 한다는 말이 떠돈다. 시골 노인이라도 만 65세 이상이면 지하철을 공짜로 이용할 수 있다. 대도시 지하철은 시설도 좋고, 각 지역으로 뻗어 있어 노인이 가고 싶은 곳이면 어디든 갈 수 있다. 그런데 전라북도로 오면 대중교통편 이용이 어렵다. 노인이 공짜로 이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도 거의 없다. 친구 집을 방문하려 하면 비포장 비탈길을 걸어야 하고, 춥거나 더운 정류장에서 1시간씩 버스를 기다려야 하는 경우도 많다. 더욱이 그런 고생을 하며 몇 번씩 버스를 갈아타는데, 그때마다 계속해서 요금을 지불해야 한다. 그래서 이런 말이 나오는가 보다. "시골에서 불편한 게 한두 가지가 아닌데, 역시 도시에서 살아야 대접받는가 보다. 도시 정치인들은 노인들을 많이 생각하는 것 같다."
최근 국감 자료에 따르면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서울·부산·대구·인천·광주에서 무임승차 혜택을 본 노인 승객 건수는 15억8,350만 건에 비용은 1조9,820억 원이나 됐다. 이들 대도시에서 1년에 약 4,000억 원씩 노인 지하철 이용비용을 지불했다. 노인 지하철 무임승차제도는 노인복지법을 근거로 한다. 노인복지법 26조는 '국가 또는 지자체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국가 또는 지자체의 수송시설 등을 무료 또는 이용요금을 할인받아 이용하게 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노인 지하철 무임승차 제도는 사회적 약자를 위한 교통복지 차원에서 마련된 것이다. 그런데 현실은 교통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고 재정상황이 상대적으로 좋은 대도시지역 노인들만 혜택을 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 농촌노인을 위한 교통복지제도가 시행되고 있는 곳이 많아지고 있다. 100원 택시를 운영하거나, 노인을 대상으로 버스비 일부를 보조해 주는 곳이 늘고 있다. 그럼에도 월 4회 정도만 이용할 수 있는 100원 택시나 교통비 일부만 지원하는 버스 정책으로는 대도시와 형평성을 맞추기 힘들다. 열악한 지자체 재정을 감안한다면 정부 지원금을 늘려 농촌 교통복지를 현실화시킬 필요가 있다. 마침 진안군이 70세 이상 노인에게 버스비 무료 혜택을 주기 시작했다. 정부의 도움으로 농촌 교통복지를 실현해 보자. 농촌 노인들은 지하철 이용 혜택을 받지는 못할지언정 대중교통요금이나마 지원받아야 상실감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