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의 초 고령화 사회 진입이 빨라지고 있다. 출산율은 바닥인데 고령인구만 늘어나는 인구분포 불균형은 심각한 사회문제가 될 수밖에 없단 점에서 우려감이 높아지고 있지만 뾰족한 대책이 없다는 점이 더 큰 과제로 다가오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35개국 중 한국은 고령화가 가장 빨리 진행되는 국가로 분류된다. 지난 2015년 80세 이상 초 고령 인구는 2.6%에 불과했지만 2050년이 되면 그 비율이 14.0%를 넘을 것이란 게 통계청 분석이다.
하지만 전북만을 별도로 한 통계치를 보면 문제는 더 크다. 호남지방 통계청이 발표한 ‘2018 전라북도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도내 65세 이상 고령자 인구는 도내 전체인구의 19.0%인 34만7000명에 달한다. 이는 전국평균 14.3%보다 4.7%포인트가 높은 수치다. 2045년이면 고령인구가 73만 명까지 치솟을 것이란 전망이다. 지금을 기준한 도내인구 41.9%에 해당한다.
노령인구 부양이 전적으로 젊은 세대 부담으로 채워지는 현실에서 출산율감소로 인한 생산인구 급감은 결국 경제적 재앙이 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올해 도내 노년부양비는 27.7명이고 65세 이상 고령자 1명을 생산 가능인구 3.6명이 부양하고 있다. 이 역시 전국 평균 19.6명과 비교 도내 노년인구 부양 부담이 크게 가중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고령화 사회로 진입이 비단 전북에 국한된 문제는 아니지만 지역이 늙어가며 활기를 잃어가는 속도에 비례해 지역 부담 역시 늘어갈 수밖에 없는 현실을 간과할 수 없기에 대책마련이 시급함은 물론이다. 지난 10여 년간 무려 126조원의 정부예산을 들여 각종 출산장려정책을 펴왔지만 한국의 출산율은 세계최저수준을 벗어나지 못하는 상황이다. 여기에 전북은 가임기여성 인구마저 줄어들고 있어 지금 이대로 라면 도내 지자체의 3분의2가 인구감소로 소멸될 것이란 우려스런 전망이 이어지며 위기감을 키우고 있기에 더욱 그렇다.      
노인 돌봄 서비스를 비롯해 취약노인계층에 대한 서비스 확대를 비롯해 노인일자리 확대등 건강한 노후를 대비한 시스템 확보는 당장의 불이다. 노인복지 선진국의 앞선 정책 벤치마킹도 서둘러야 한다. 노인스스로의 경제적 자립지원 노력과 함께 정부와 지자체의 제도적 지원 체계 확립이 절실하다. 지속적이고 항구적인 중장기 복지대책 마련을 통한 실질적 대처노력이 지금 필요하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