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취평가제를 안착시키려면 대입 등 이를 뒷받침하는 교육기반을 마련하고 학교주체들의 관련 인식을 높여야 한다는 의견이다.

전북교육정책연구소(소장 김항윤)가 29일 전북대학교 인문사회관에서 연 ‘미래교육을 위한 교실평가 혁신 방안 정책 포럼’에선 성취평가, 과정중심평가, 수행평가, 교사별 평가 등 다양한 교실평가 혁신 방안과 사례를 나눴다.

특히 성취평가제에 관심이 쏠렸는데 정부가 과목선택제를 토대로 학점과 졸업을 연계하는 ‘고교학점제’를 도입하려면 내신 절대평가인 ‘성취평가제’를 필요로 해서다.

이현주 남원서진여고 교사는 “공동교육과정에서 성취평가제를 실시하면서 하향평준화로 인한 학력저하를 우려했다. 헌데 자기주도적이며 창의적인 학습활동이 가능했다”면서 “상대평가 폐해와 성취평가제 필요성이 언급됨에도 성취평가제가 안착하지 못한 이유가 궁금해졌다”고 설명했다.

이 교사는 성취평가제 정착 방안으로 △교사들의 교육과정 인식 제고△교사별 평가시기 결정△성취평가제 실행을 위한 자료 개발 및 보급△관련 나이스 시스템 구축△수업과 평가에 집중하도록 교사 업무지원을 꼽았다.

최재훈 신흥고 교사는 교육기관들의 도움도 절실하다고 했다. 그는 “평가와 교육과정이 변하지 않는 게 지방 고등학교다. 지난 방식을 유지하면 학생들을 수도권 대학에 보내기 어렵단 걸 알지만 지방 국립대엔 가능하기 때문”이라며 “교육청이 적극적인 정책을 유도하고 대입전형과 평가와의 관계를 분석하는 게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내신성취제를 비롯한 교실평가 혁신은 교육과정, 미래형 대입제도와 함께 바라봐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았다.

이는 전주은 회현중 교사의 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는 “3학년 입시 시기가 오면 아이들 사이엔 경쟁만 남는다. 중학교는 성취평가제기 때문에 타인 성적보다 스스로의 성취도가 중요하나, 고입을 위한 내신산출은 석차점수기 때문”이라며 “고입 방법이 바뀌지 않으면 중학교 성취평가제는 힘을 잃을 거 같다”고 토로했다.

주제발표한 김천홍 전북교육정책연구소 연구원은 “고교학점제과 대입은 연결될 수밖에 없다. 학점제를 위해 선지원 후시험, 학과별 적성고사 도입, 대학별 혹은 대학과 국가 간 연합 및 위탁형 실시를 제안한다”고 했다./이수화기자‧waterflower20@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