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투자 확대를 위해 노동자는 임금을 낮추고 정부는 복지인프라를 확대하는 내용을 담은 ‘광주형일자리’논의가 답보상태에 놓이면서 대안지역으로 거론됐던 군산. 하지만 가능성에 많은 도민들이 기대를 가졌던 것과 달리 정치권의 광주 압박용 카드 중 하나로 툭 던진 것에 불과한 것 아니냐는 부정적 여론이 지역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집권여당인 민주당 홍영표원내대표를 비롯해 이원욱 제3정책조정위원장 등의 군산이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입장표명이 있은 후 초미의 관심이 모아졌지만 ‘당론으로 정한 것은 아니다’며 슬그머니 한 발 빼는 발언이 최근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여야가 합의해 220억 원의 예산까지 세웠음에도 광주시투자협상단과 현대차의 합의안이 도출되지 않자 촉박해진 시한을 맞추기 위해 ‘말 안 들으면 군산 준다’고 합의를 촉구한 것 이라는 비난이 그것이다.
물론 급박했을 순 있다. 세워둔 예산이 물거품 되느니 이 예산을 절실히 원하는 다른 지역에라도 지원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는 대안을 검토하는 것도 맞다. 그리고 대안으로 광주행 일자리 사업을 공모제로 전환해 어느 지역이든 예산을 줄 수 있도록 하자는 의견들이 나와 이를 언론에 흘렸던 것이니 크게 잘못한 게 아닐 수도 있다.
하지만 지역경제가 초토화된 군산과 전북 입장을 조금만 헤아렸더라도 이런 발언들은 절대 신중하지 못했다. 가능성이 희박함을 모르는바 아니었음에도 혹시나 하고 기대를 가졌던 건 그만큼 지역이 어렵기 때문이다. 지푸라기라도 잡아야 할 만큼 절실한 상황에 자동차공장이 재가동될 수도 있는 희망을 줄 수 있는 발언을 그리 쉽게 해서는 안됐다. 최소한 광주형일자리 타결과는 상관없이 군산을 비롯해 어려움을 겪는 산업위기지역에도 이런 흐름의 사업에 정부예산을 지원할 수 있는 대책을 세우겠다는 정도까지는 나갔어야 했다. 광주가 안 되길 바랐던게 아니라 군산 가능성도 같이 봐달라는 거였지만 결과는 ‘군산 들러리’로 이해될 수도 있기에 배신감이 커질 수밖에 없음은 오히려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지금부터라도 여당은 새로운 논의에 들어가야 한다. 고용위기를 겪는 군산에 활력을 불어넣을 분명한 지원 근거를 만들어야 한다. 이미 선진국 성공사례에서 확인됐듯 사회통합형 일자리사업 확대는 지역은 물론 위기의 한국경제에 새로운 힘이 될 수 있기에 더욱 그렇다. 들러리 시켰으면 책임질 줄도 알아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