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부진 상태를 면치 못하던 ‘광주형일자리 사업’ 협상이 사실상 타결되면서 자연스레 ‘군산형일자리’에 대한 전북도민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지난달 27일 익산을 찾은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광주형 일자리는 거의 매듭 짓는 단계고, 그 다음으로 군산형일자리를 준비 중”이란 발언도 재 부각되고 있는 상황이다.
4일 오후 광주형일자리의 모델이 될 완성차 공장 설립을 위한 광주시와 현대자동차(이하 현대차)의 투자협약이 사실상 타결됐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광주시는 5일 오전 시청에서 노사민정협의회를 개최해 이번 현대차와의 협상 경과와 내용을 공유하고, 최종 협상(안)에 대한 공동결의를 논의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광주 다음으로 가장 많이 거론됐던 군산형일자리에 대한 관심 및 사업 추진 여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그동안 군산형일자리는 여당을 중심으로 한 정치권에서 ‘광주가 안 될 경우’ 또는 ‘광주 타결 후 제2 사업 대상’이라는 지목을 받아왔던 대표지역이다.
일각에서는 ‘광주 압박용으로 군산을 거론하는 것 아니냐’는 의혹을 받을 정도로 많이 언급됐고, 이는 그만큼 사업 추진의 가능성이 크다는 것으로도 분석돼 왔다.
또한, 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는 “올 초부터 청와대에 광주형일자리가 어느 정도 실현되면 제2의 광주형일자리를 군산에 만들자고 협의해 왔다”고 말해 정부와도 어느 정도 조율이 이뤄진 것으로도 해석되고 있다.
군산의 경우, GM 군산공장 부지와 새만금 산업단지 등 군산형 일자리 모델을 단기간에 조성할 수 있는 조건 및 공간 등이 충분하다는 의견도 여러 차례 언급돼 오기도 했다.
전북도 또한, 군산은 광주와 다르게 기업만 들어오면 바로 해결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여러 차례 견지해 왔다.
이 바탕에는 대단위 부지 및 전문 인력 등의 인프라가 이미 마련돼 있다는 점과 노동단체들과의 수차례에 걸친 임금문제 (선제적) 조율(연봉 5000만원 내외) 등도 장점으로 내세울 수 있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지역 정가에서는 일각에서 제기됐던 ‘광주 압박용’ 의구심이 사실이 아니라는 것은 향후 정부와 여권 등의 군산형 일자리 추진 의지를 살펴보면 증명될 것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광주형일자리 사업 타결과는 별도로 전북도만의 차별화된 모델을 통한 일자리 사업을 고안, 추진 중에 있다”면서 “정부, 기업, 유관기관들과의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침체된 군산, 전북을 살리기 위한 발판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유승훈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