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혁신도시로 이전한 공공기관들의 지역경제 기여도가 기대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지역밀착형 기관으로의 전환을 통한 ‘전북 기관’으로 정착을 위해 지자체와 도민들의 많은 노력을 했지만 전북의 짝사랑에 불과했던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올 만큼 강한 섭섭함이 제기되고 있다. 지역인재 할당제등이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 효과도 전국평균에 못 미치고 있으며 지방세 납부액, 지역업체 용역 이용률 역시 낙제점 수준이기 때문이다.
전북도의회 이명연의원이 밝힌 자료에 따르면 전북혁신도시로 이주해온 11곳 국가기관과 공공기관이 지난해 발주한 용역 3천648건 중 도내 업체들이 수주한 비율은 46%인 1천710건이었지만 건수가 아닌 발주금액을 기준할 경우 지역 업체 수주액은 82억 원에 불과했다. 전체 1천46억 원의 7.8%로 굵직하고 돈 되는 대형 용역은 모두 외지업체에 돌아갔고 도내 업체들은 이들이 기피하는 소액 용역을 받아가는 데 만족해야 했던 것이다.
일자리 창출 효과도 인색한 것은 마찬가지다. 주요 공공기관 6곳이 2015년부터 3년 동안 채용한 1천992명 신입사원 중 지역인재 채용률은 14%인 282명으로 전국평균 326명에 크게 못 미쳤다. 전주시가 전국최초로 지역인재 할당 필요성을 제기하고 정부가 마지못해 이를 받아주는 등의 우여곡절을 겪었던 것에서도 나타났듯이 당시 타 지역으로 이전한 공공기관들의 경우 적극적인 지역인재 채용을 통해 지역과 한 살이 되려고 노력했던 것과 달리 지역의 분위기는 채용과정에서의 역차별 운운하며 탐탁지 않아 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소극적인 입장이 지역인재 채용외면으로 이어진 것은 아닌지 의심이 들 정도다. 지방세 납부실적 역시 최근 5년간 전국 평균은 1천793억 원이었던데 반해 도내 13개 기관 평균은 1천495억 원으로 298억 원이 적었다. 그나마 매년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중앙 공공기관을 지방으로 이전시켜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겠다는 정부였다. 주민들 역시 지역경제에 도움이 될 것이란 기대감을 가졌지만 지금까지의 성적은 기대이하에 속빈 강정이다. 지역과 하나 되려는 노력도 없고 전북의 인연은 ‘잠시 머무는 곳’ 에 불과하다. 이대로라면 혁신도시 시즌2에 대한 기대는 접어도 좋을 만큼 시즌1은 실망이다. 처음부터 제대로 된 점검을 해야 할 듯싶다. 전북에 있지만 전북이 아니라면 없는 것과 마찬가지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