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1월 1일부터 시행되는 최저임금 10.9% 추가 인상을 앞두고 도내 영세자영업자와 중소기업들이 깊은 고민에 빠져들고 있다. 사업을 접어야 하는 거 아니냐는 고민에서 부터 별수 없이 인원을 더 줄이는 수밖에 없다는 말들이 탄식 섞인 한숨 속에 공공연히 오고가는 것이다. 최저임금이 올라 기뻤던 것도 잠시, 고용불안에 더 큰 심적 고통에 시급 알바 생들은 오히려 불안하기만 하다.
올해 최저임금이 16.4% 인상되면서 심각한 홍역을 치렀던 터라 내년의 추가 인상은 경영에 직격탄이 될 것이란 우려는 이미 오래전 나왔었다. 폐업을 하거나 오른 시급을 부담하기 위해서 종업원을 감원하는 일이 일반화 됐고 대형 패스트푸드 점을 중심으로 무인주문 시스템이 급속히 확산됐다. 내년 또다시 임금이 오르게 된 만큼 올해보다 더 많은 감원과 빈자리의 무인시스템 대체가 더욱 속도를 내면서 그나마 시급일자리 조차 사라지는 상황을 어렵지 않게 예상케 한다. 여기에 52시간 근무제까지 강행되면서 이젠 중소기업은 물론 대기업들 까지도 어려움과 고통에 직면하게 됐다. 좋은 일자리는 고사하고 불안한 일자리마저 자취를 감추게 되는, 올해보다 더한 악순환의 재연이 우리 사회 전반을 옥죄고 있는 것이다.
정부가 만들었다는 일자리의 온기를 전북에선 전혀 느낄 수도 없다. 지금과 같은 수준과 속도로 최저임금이 오르면 오는 2021년까지 최대 47만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이란 한국경제연구원의 예측을 빌리지 않아도 전북은 이미 예전부터 있었던 경제 한파가 이젠 경제위기로 다가 오고 있음을 체감하고 있다. 내년 최저임금 인상을 끔찍한 일의 시작으로 까지 평가하는 상황에서 전북경제가 얼마나 버틸 수 있을지 걱정이 아닐 수 없다.   
사태의 심각성을 인식한 정부와 여당이 지난 12일 고위 당·정·청 회의에서 최저임금 속도조절, 탄력근로제 단위기간 확대 등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를 했지만 실천적의지로 까지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다행이 문재인대통령이 '고용 문제에 있어 성공하지 못했다'는 발언을 했고 홍남기경제부총리는 최저임금 인상 속도 조절을 위해 최저임금을 결정하는 구조를 개편할 계획이라며 내년 1분기 안에 대책을 내놓겠다고도 했다. 문제를 손보겠다니 두고 볼 일이지만 이는 내후년의 일이라 당장 내년이 우려스러움은 어쩔 수 없다. 더욱이 이들 문제는 노동계가 반대 하고 있어 더욱 그렇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