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이 미래 성장산업으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미래 농업은 '스마트'로 표현되고 있다. 그동안 종자·비료·농약 등 생물화학 기반 기술이 농업을 이끌었다면, 앞으로는 ICT 기반 기술이 농업을 이끄는 시대가 온다. 우리나라 농업의 스마트화도 이미 시작됐고, 정부와 민간에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스마트농업이 필요한 이유는 비용이 절감되며, 농약·비료·용수 등 투입재 제어를 통해 사용량을 감소시키고, 병해충·홍수·가뭄 등 위험에 대비하며, 생산·유통·소비를 통해 가치사슬을 무한히 확장시켜 산업 활성화를 이룰 수도 있으며, 농촌 고령화 및 저출산으로 인한 문제를 농업인력의 정예화로 해결하는 것 등이다. 어느 것 하나 중요하지 않은 게 없을 정도로 명분은 크다. 우리 농업의 수익성이 갈수록 악화되고 경쟁력은 약해지고 있다. 농촌 고령화로 40세 미만 청년 농업 경영주의 비율도 1.1%에 불과하다. 또 미래 농업은 환경과 기후변화의 영향을 점차 크게 받게 되는데, 환경오염을 최소화하고 지속가능한 농업을 만드는 게 무엇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한 전문가는 '농업인력의 고령화와 농촌 공동화는 우리가 맞게 될 피할 수 없는 문제인데, 스마트팜은 부모세대의 기술과 노하우가 스마트장치를 매개로 자녀세대에게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도와 농업인력의 정예화와 빠른 세대교체를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규정했다.
마침 전라북도가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사업'의 시범사업 부지로 선정됐다. 전북형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사업은 스마트팜 청년창업 생태계 조성과 기술혁신의 기능이 집약화 된 첨단농업의 거점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이곳에는 청년보육센터와 스마트팜 실증단지, 임대형 스마트팜 단지 등이 집적화된다. 청년 보육 참여자들은 졸업 후 창농 뿐만 아니라 스마트팜과 관련된 ICT기업 창·취업, 전문 재배사, 스마트팜 컨설턴트 등 다양한 농업 전후방 사업으로 진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결국, 스마트팜은 농촌에 젊은층을 유인해 고령화 및 저출산 문제를 극복하고, 미래 환경에 대비해 지속 가능한 농업 기반을 마련하며, 농업 고부가가치 산업화 및 수출 주도산업으로의 전환 등 많은 것을 가능케 해 줄 대안이다. 일부 지역 농민 환경단체의 반대가 있지만, 전북도가 이를 현명하게 대처하고 스마트팜을 조속히 추진해야 하는 이유들은 차고 넘친다 하겠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