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환 전북교육감의 신년 약속은 ‘혁신교육 완성’이었다. 지난 8일 김 교육감은 신년기자회견을 통해 “도민들이 세 번 연속 교육감으로 뽑아준 것은 미래교육을 바로세우라는 준엄한 명령”이라며 이같이 강조했다.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 초지능화된 사회가 등장하는 대전환의 시대에 교육 대혁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고 이런 시대적 요구는 전북교육청의 혁신교육 방향과 일치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공교육의 기준이 되는 전북교육을 완성하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김 교육감은 전북교육에 대해 ‘대한민국 교육의 새로운 희망’, ‘대한민국 교육의 기준’으로 표현하며 자신의 임기 중 펼친 정책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구체적인 사례로 ‘초등 성장평가제 도입’, ‘혁신학교 전국 확대 정책’, ‘고교 무상교육 실현’, 국가교육위원회 설립‘등을 제시했다. 그러면서 “단기적으로 보면 불가능해 보여도 장기적으로 보면 사회는 계속발전 한다”고 밝혀 교육자치 실현이나 특권교육 폐지 등 자신의 교육철학을 고수 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날 기자회견에 주목되는 부분은 역시 ‘혁신교육 완성’이었다. ‘혁신학교’의 확대에 이어 ‘혁신교육’ 실현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여줬다. 하지만 현실은 그리 녹록치 않다. 먼저 혁신교육에 대한 도민들의 지지와 성원은 아직까지 절대적이지 않다. 아직도 혁신학교의 학력에 대해 비판적으로 접근하는 학부모들이 존재한다. 상급 학교 진학을 위한 ‘성적’을 우선시하는 학부모들에게 혁신교육에 대한 이해를 어떻게 구할지 더 고민해야 한다.
혁신학교가 제대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는 인사제도도 필요하다. 혁신학교 운영에 부정적인 인사가 혁신학교 교장으로 취임하는 일은 바람직하지 않다. 혁신학교의 지향점에 대한 철학이 없는 교장은 자칫 학교를 예전으로 되돌려 버릴 가능성도 존재한다. 혁신 학교는 교육자치의 한 단위로 모범이 돼야 한다. 그러기에 혁신학교 교장의 책무는 그만큼 중요한 것이다. 교육자치에 대한, 혁신교육에 대한 믿음이 없는 교장에게 기대할 부분은 많지 않다.
김 교육감의 임기는 이번이 마지막이다. 혁신교육을 완성시키기 위한 보다 구체적인 교육행정이 필요하다. ‘미래 교육에 희망의 꽃을 피우는’ 2019년이 되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