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국가식품클러스터의 양적 성장뿐만 아니라 질적 수준 고도화를 위한 정책이 병행 추진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투자양해각서를 체결한 10곳 중 6곳만이 입주를 했는가 하면, 입주한 기업들의 평균 투자액도 미비해 기업유치로 인한 일자리 창출규모나 연쇄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14일 도에 따르면 지난 2009년부터 2016년까지 116개 업체와 연구소가 익산국가식품클러스터에 투자하기로 하고 양해각서를 체결했지만 이 가운데 67곳(57%)만이 입주하며 10건 중 4건은 파기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분양률 역시 목표분양률 50% 대비 약 8%가 부족한 42.4%로 기업 유치 실적도 저조한 실정이다.

더군다나 현재 입주한 67개 기업의 총 투자금액은 4402억원으로 기업당 평균 65억여원에 그치고 있으며 이 중 30억 이하가 41개 기업, 50억 이하가 51개 기업에 달해 평균치 투자규모에도 미치지 못하는 기업이 76%나 된다.

특히 1100억원을 투자한 하림을 제외하면 이렇다 할 앵커 기업이 없어 기업 유치로 인한 일자리 창출 효과 등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때문에 전북도가 제시했던 마스터플랜의 새로운 버전갱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 2012년도에 입안된 마스터플랜을 폐기하고 농림축산식품부에 건의해 식품클러스터의 글로벌경쟁력 제고방안이 반영된 새로운 버전으로 갱신, 전북도가 자체안을 마련해서 제시하는 적극적인 노력도 병행돼야 한다는 것이다.

또 2단계 사업을 위해서라도 전담 조직 확대개편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현재 과단위 전담조직을 운영 중인 익산시만으로는 힘이 부족하기 때문에 도가 전담조직을 키워 익산시와의 협업을 통해 파이를 키워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전북도의회 김대오(익산1) 의원은 “익산식품클러스터는 단순히 먹거리 산업에 국한된 영역이 아니고 개별 도시의 발전은 물론 전라북도 지역경제의 한 축을 담당할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면서 “전북도는 사안의 중차대함을 충분히 인식하고 여기에 부합하는 충분한 제반 도정 역량이 투입될 수 있도록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김대연기자·re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