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지역 경제상황이 좀처럼 나아지지 않고 있다. 현대중공업군산공장 가동중단과 한국GM군산공장 폐쇄에 따른 대량실직과 관련기업들의 줄도산에 따른 후유증이 정부와 지자체 노력에도 해소되기는커녕 오히려 침체의 골이 깊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오는 4월5일부로 기한 1년을 마친 ‘군산고용위기지역’해제를 앞두고 있어 재연장에 대한 필요성이 강력히 제기되고 있다.
현재 군산은 고용위기 지정에 따른 후속 대책으로 지난해 6월 개소한 고용위기 종합지원센터를 통한 전직이나 심리, 직업훈련 등의 상담건수가 6개월여 만에 총 11,000여건에 달할 만큼 대량실업과 이로 인한 심적부담 가중, 새로운 직업을 찾기 위한 실직자들의 노력이 최대치에 몰려있다. 그러나 이중 실제 취업에 성공한 경우는 250여명 정도다. 지금 군산 경제상황에 비추어 적지 않은 수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절대다수가 심각한 경제적 어려움에 처해 있음을 증명해주는 셈이다.  
정부가 지난 1년 동안 관련예산 우선지원을 통해 회생을 지원했지만 고용상태는 더욱 악화됐고 실물 경제 환경은 갈수록 피폐해 지고 있다. 군산경제가 고사하면서 이로 인한 여파는 전북경제 전반으로 확산중이다. 구인·구직 만남의 행사를 개최하는 등 현장중심의 다양한 고용확대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지만 경제기반자체가 무너져가는 상황에 성과를 기대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한 게 지금 군산경제 현실이다.
지난 15일 열린 문재인대통령과 기업인과의 대화에서 도내 상공회의소 대표가 건의한 것도 현대중공업, 군산GM공장, 군산산업단지 임대예산 지원과 고용위기지역 지정연장 이었을 만큼 전북경제 최대 현안은 군산경제 회생이다. 그리고 우선 요구되는 현안이 고용위기지역 지정연장에 대한 정부 의지다. 각고의 노력과 읍소에도 현대중공업군산조선소 재가동 요청은 번번히 최대의 이윤창출을 앞세운 기업논리에 가로막혀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다. GM군산공장 재활용 문제 역시 빠른 시일 안에 대체 활용방안이 도출되기는 힘들어 보인다. 이런 상황에 일자리창출, 노동자생활안전망 확충에 대한 예산지원을 우선으로 하는 고용위기지역 해지가 현실이 될 경우 버팀목이 사라진 지역경제의 초토화는 불을 보듯 훤하다.
수치로 나타난 재지정 여건을 운운할 상황이 아니다. 지역에서 일을 찾는 게 아니라 아예 지역을 떠나버리는 실직자가 급증하는 실질적 지역경제 현실을 감안한 정책적 배려가 시급하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