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간선도로는 시내버스 회사가 운행하고, 시내버스 운행이 어려운 지역이나 마을에서는 순환버스를 운행하는 수요자 중심의 대중교통 운영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남원시의회 전평기 의원은 지난 18일 열린 제228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신청, 이같은 방안을 제시했다.

전 의원에 따르면 농촌지역은 소수의 중·고등학생들을 제외하고는 어르신들이 주로 많이 거주하고 있어서 시내버스가 가장 중요한 교통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남원은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6%로, 버스승강장까지의 이동조차도 어려운 어르신들이 많아 시내버스를 이용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남원시는 벽지노선 손실보상, 비수익노선 재정지원, 카드 및 학생 지원, 대폐차 지원, 시내버스 1000원 단일요금제 지원 등 다양한 명목으로 2016년 23억2000만원, 2017년 27억6000만원, 2018년 30억3000만원을 시내버스 업체에 지원했다. 2019년도에는 44억7000만원으로 매년 지원 금액이 상승하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매년 증가하는 예산의 효과를 시민들이 체감할 수 없다는 점이다.

근로기준법 개정으로 버스업계가 주 52시간 근로시간을 준수함에 따라 현재 운행 중인 노선이 감축되고 시간도 변경돼 시민들은 예전보다 많은 불편을 느끼고 있다.

남원시는 2016년 5월부터 수요응답형 버스(대강면, 소형버스, 마을↔소재지간 이동)를 운행하고 있고, 2017년부터는 수요대응형 호출버스(차량 43대, 15개 읍면동, 정류장 55개소)도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마을과 소재지간 이동을 위한 수요응답형 버스는 주민들에게 높은 호응과 만족도를 보이고 있는 반면, 시내버스를 이용한 수요대응형 호출버스의 경우 기다리는 시간이 길고 호출시 적시 응답이 이뤄지지 않는 등의 이유로 주민들로부터 외면받고 있다.

이 두 사례만 보아도 주민들이 원하고 주민들에게 필요한 대중교통이 무엇인지 알 수 있다.

중앙부처와 도에서도 농촌의 열악한 교통 접근성을 해소하기 위해 농촌형 교통모델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수혜인구는 5%에도 미치지 못한다. 도에서 지원하는 수요버스 DRT사업도 일부 지역에 국한되고 있는 현실에서 보조사업에만 의존해서는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 도입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주요 간선도로는 시내버스 회사가 시민편의 지원을 위해 집중적으로 운행하고, 시내버스 운행이 어려운 지역이나 마을에서 소재지로 이동하는 운행은 권역별 또는 면별 협의체 등을 활용해 순환버스(소형, 일부공영제)를 운행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전 의원은 “시내버스 1000원 단일요금제와 근로시간 단축으로 인한 운행횟수 및 노선 감축 시기가 맞물림에 따라 많은 시민들은 요금제 때문에 운행횟수와 노선이 감축된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며 “시민들이 원하고 시민들이 필요한 대중교통 서비스가 하루빨리 시행되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