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정치권이 정치개혁차원에서 검토 중인 선거제 개혁안에 지역구 국회의원수를 감소하는 내용을 공통을 담고 있어 자칫 전북정치권의 정치력 약화로 이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의원수를 현행 300명으로 유지하되 비례대표의원수를 늘리자는 민주당 안이나 100%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을 주장하는 야3당의 안 모두 국회의원 지역구수 감소를 그 바탕에 깔고 있기 때문이다. 가뜩이나 인구감소로 지역구가 줄어들고 있는 전북 입장에선 직접적인 불이익을 받을 수밖에 없는 안임은 물론이다.
민주당과 바른미래당, 평민당, 정의당이 확정한 안은 현재 253석인 지역구의원수를 줄이고 비례대표를 늘리자는 것으로 민주당 안은 53석을, 야3당은 33석을 줄이자는 게 핵심이다. 이안이 받아들여질 경우 지난해 말 현재 주민등록상 인구를 기준으로 하면 전북의 지역구국회의원수는 지금보다 2~3명 정도 줄어들게 된다.  
선거구 획정이 도농복합선거구 문제, 비수도권 농어촌지역구 배려, 인구편차요건을 충족하기 위한 재획정 과정 등의 논의 절차를 거쳐야 한다고는 하지만 지역구의석수 감소는 어떤 식으로든 전북에 절대적인 악영향이 미칠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 인구수가 선거제도 및 선거구 획정의 절대적 기준이 된다는 점에서 한때 14명이었던 지역구 의석수가 11석, 그리고 10석으로 줄더니 이젠 한자리수로 까지 주저앉게 되는 최악의 상황을 대비해야 하는 것이다. 
한때 200만 명이 넘었던 전북인구가 이젠 185만 명 수준 유지도 힘들어질 만큼 도세가 위축되면서 정치적 영향력이 축소되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결과 일수 있다. 하지만 지역구 의석수 감소는 필연적으로 선거구 확대에 따른 기형적인 획정을 불러올 수밖에 없어 여론수렴의 절대적 한계라는 문제점을 내포한다. 비례대표가 늘어난다지만 이들은 각 정당이 필요로 하는 인물이지 지역 대표로서의 역할을 기대할 수 없는 게 현실 아닌가.  
과거정치권력의 의도적인 전북소외 정책의 피해가 이젠 한국의 변방으로 전북이 치부되며 존재가치 조차 희미해지는 상황으로 이어지게 해서는 안 된다. 지역정치권이 정개특위 협의과정에서 전북입장을 최대한 반영 반드시 지역 몫을 찾겠다고 하지만 믿음이 안갈 만큼 지금 전북 정치권은 위기다. 여야를 떠나 ‘전북의 정치력’ 하나만을 위해 힘을 모아야 할 때다. 더 이상 힘을 잃으면 정말 답이 없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