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 또는 매매 현수막을 내건 건물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게 된 오늘날, 전주 지역에서 공실이 급증하는 등 도심 슬럼화가 가속화 페달을 밟고 있다.

과거 빈집이라 하면 주택이 대상이었지만, 최근에는 공동주택까지 번진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주택에 대한 공실 증가 현상은 전주의 경우 평화동에서 두드러지고 있다.

2002년 입주를 시작한 평화주공 1단지는 지난해 말 기준 공실 수는 154개소로 집계됐다. 전체 세대수 730세대를 감안할 때 1/5 가량이 턴 빈 채 방치된 셈이다.

상황은 오는 3월 완공되는 반월동 영구임대주택 입주가 시작되면 이곳 평화주공1단지의 공실 수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 같은 도심 슬럼화에 다른 지자체에선 선호가 낮은 초소형 평수에 대한 개선 등 대책 마련을 모색하고 있다.

일례로 광주광역시의 경우, 전국에서 최초로 공공영구임대 아파트 두 채 사이의 벽을 터서 한 채로 확장하는 ‘수요자 맞춤형 세대벽 철거 리모델링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7~8평의 초소형 주택은 주민들이 선호하지 않아 공실수가 다른 평수에 비해 높은 상황으로, 주택 수요에 맞춰 공실을 줄이겠다는 구상이다.

평화주공1단지 역시 다른 영구임대아파트와 비교해 공실수가 많은 이유는 수요가 낮은 7~9평 사이의 초소형 주택인 부분도 한 몫 하는 상황이다.

이에 전주시의회 양영환 의원은 해당 아파트에 대한 청년미래 공동체주택 공급 등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청년미래 공동체주택 공급 계획은 최근 서울 서대문구에서 발표한 사업으로, 청년 및 독립 유공자 등에 지원을 제공, 공실을 낮추고 다양한 계층이 더불어 살 수 있는 공동체주택을 건설을 골자로 한다.

전주시의회 양영환 의원은 “장기간 비어있는 평화주공1단지는 영세한 주거환경이라는 이미지로 많은 사람들이 기피하는 것이 현실이다. 부정적 이미지 개선을 위해 영구임대아파트 입주자 자격에 청년 1인 가구를 포함시키는 등 침체된 지역 분위기를 젊고 활기 있게 변모시켜야 한다”면서 “공실을 다양한 형태로 활용해 여러 세대와 계층이 어울려 살 수 있는 지역 모델로 탈바꿈시켜야 할 때다”고 말했다./권순재기자·aonglhus@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