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정부의 대선공약인 ‘혁신도시 시즌 2’ 추진이 조만간 가시화될 전망이다. 여당인 더불어 민주당 이해찬 대표는 최근 당 소속 시도지사와의 간담회를 통해 기존 1기 혁신도시와 지방으로 이전한 기관 평가를 바탕으로 제2의 공공기관 이전을 검토하도록 당정이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공공기관들의 지방이전에 따른 파급효과, 주민들의 반응을 비롯한 성과와 문제점, 보완점 등을 면밀히 분석한 평가 자료를 토대로 추가이전 기관 지역분배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근무인원 5만8000여명의 수도권공공기관 122개를 지역으로 이전하는 계획이란 점에서 전국지자체들의 이들 기관 유치를 위한 본격적인 경쟁도 표면위로 드러나게 됐다.
특히 전북은 혁신도시를 농생명특화 금융도시로 발전시켜 나가겠다는 기본원칙아래 금융과 농생명 관련 기관의 추가 이전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지역인재 의무채용규모가 상대적으로 적은 기관들이 대부분인 현실에서 이번 시즌2에 이전하게 될 기관만큼은 규모가 큰 국책기관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점도 요구사항중 하나다.
그러나 타 지역 혁신도시 대책 역시 전북과 다를 바 없고 파급효과 큰 기관유치를 위한 경쟁도 불가피해 넘어할 산이 만만치 않다. 전북과 함께 금융 중심지 도약을 준비하는 부산이 그렇다. 정부의 2차 공공기관 이전에 대비해 이미 지난해 2월 용역을 발주하고 선제대응에 나선 부산은 현존하는 금융 관련기관들과의 시너지 효과 확대를 위해 수협은행을 비롯해 수출입은행, 산업은행, 무역보험공사, 예금보험공사 등의 금융기관들을 구체적으로 거론하며 부산 이전을 공개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전북이 희망하는 기관들과 겹치면서 이들의 기득권 논리에 불이익을 받지 않을까 하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올 정도다.
지역 간 불균형을 해소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발전을 통해 자립형 지방화를 촉진하기 위해 결정된 공공기관 지방이전의 성과가 아직은 미완이란 점에서 공공기관 추가이전 대상의 선점 필요성은 중요하다. 제3금융 중심지 지정과 관련된 용역결과에 대비한 대응책 마련에서부터 시즌2이전 대상기관의 전북유치전에 이르기 까지 치밀하고 조직적이고 논리적인 대안 마련이 절실하다. 경쟁도시가 이미 1년여 전부터 이 작업에 나서고 있는 건 분명 부담이기에 그렇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