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 상생 일자리 모델인 광주형 일자리 협상이 전격 합의돼 31일 투자협약을 공식 체결함에 따라 전북도가 구상하고 있는 ‘전북군산형 일자리’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오후 광주광역시청에서 열린 광주형 일자리 투자협약식에 참석했다. 노사상생의 사회대통합형 일자리정책 모델로 문재인정부가 공을 들여온 만큼 직접 현장을 찾아 의미를 부여한 것이다.

문 대통령은 “광주형 일자리는 산업구조의 빠른 변화 속에서 노사와 지역이 어떻게 상생할 수 있을지 보여주는 모범 사례가 될 것이라 확신한다”며 “‘상생형 지역일자리’를 늘리는 것은 지역경제의 회복과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꼭 필요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주력 산업의 구조조정으로 지역경제와 일자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일수록 적극적인 활용을 바란다”며 광주형 일자리 모델의 전국 확산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의지를 밝혔다.

이에 따라 송하진 전북도지사가 신년기자회견에서 공식화한 '전북군산형 일자리'사업 추진이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이번 광주형 일자리를 시작으로 지역상생 일자리 모델을 만들어 올 상반기 안에 2~3개 지자체에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홍남기 경제부총리는 전날 “정부와 지자체, 노사가 함께 일자리를 만드는 사업을 추진하려면 예산이나 세제 등에서 어떤 지원이 가능한지 검토 중”이라며 “2월 말까지 지역상생 일자리 모델로 일반모델화해서 지자체에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지역상생 일자리모델 가이드라인이 나오면 지자체에서 이를 토대로 지역에 적합한 일자리모델 사업을 만들어 신청하도록 한 뒤 심사를 거쳐 상반기 내에 2∼3개 지자체에 모델을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후속 사업 후보지로는 한국지엠 군산공장 폐쇄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북 군산이 우선 거론된다. ‘전북군산형 일자리’는 지엠 군산공장과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를 대상으로 하는 일자리 창출이 가능하다.

전북도는 현재 광주형 일자리보다 진화된 ‘전북군산형 일자리’ 추진을 공식화하고 한국지엠 군산공장과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를 활용한 가능성을 열어두고 사업 검토에 들어간 상태다. 한국지엠 군산공장 유휴시설과 숙련된 노동자 등을 통해 차별화된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다만 사업 성공의 관건은 참여 기업 확보라는 점에서 도와 정치권, 정부가 유기적인 협조체제를 구축해 실현 가능한 방안 마련에 속도를 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광주형 일자리는 기업이 상대적으로 낮은 임금으로 노동자를 고용하는 대신 정부와 지자체가 주거와 복지 지원으로 임금을 보전해주는 방식으로 지난해 12월 5일 합의가 무산된 뒤 두 달만에 극적 타결됐다.

/청와대=최홍은기자·hiimnews@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