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농가소득이 4,000만원대에 진입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농업전망 2019'에 따르면 2019년 가구당 농가소득은 2018년보다 1.1% 증가한 4,006만3,000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됐다. 지난 2005년 3,000만 원대를 돌파한 농가소득이 14년 만에 4,000만 원대에 오르는 것이다. 농경연은 또 오는 2028년에는 영농규모 확대 등으로 농가소득이 4,837만3,000원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농가소득 5,000만원' 달성이란 희망이 현실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농가소득 4,000만 원대 진입은 농외소득이 이끌 것으로 분석됐다. 농경연은 농외소득이 2018년 1,684만원에서 2019년 1,758만2,000원으로 4.4% 늘 것으로 추정했다. 농업소득은 2017년 1,004만7,000원에서 2018년 1,072만5,000원으로 반등했다가 2019년에는 1,052만1,000원으로 하락하고, 2023년에도 1,081만1,000원으로 소폭 오름세에 그칠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농산물을 팔아 얻는 조수입이 늘어도 자재비 같은 농업경영비가 비슷하게 증가하기 때문이다. 어쨌든 농업을 직업으로 갖고 먹고 살 수 있는 확률이 그만큼 커질 것은 확실해 보인다.
하지만 해결해야 할 문제도 많다. 최근 농협이 농가소득 5,000만원 달성을 위해 역점적으로 추진하는 농약·비료·사료·시설자재 등의 가격 인하 조치와 농산물 제값 받기 등의 노력이 농업소득 및 농가소득 증대에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렇다면 정부에서도 이에 걸 맞는 정책을 마련해 추진해야 한다. 중장기적으로 도농간 소득격차는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농경연은 도시근로자가구소득에 비해 농가소득이 2018년 64.8%에서 2028년 62.5%로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농업생산액이 올라 농가소득이 증가하는 속도 보다 도시근로자 급여 소득 증가율이 더 빠르다는 것이다. 이러면 청년들을 농촌으로 쉽게 이주시키기 어렵다. 농촌 희망이 현실이 될 수 있도록 만들기 위해서는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 청년농부의 영농정착 지원 사업을 확대하고, 농업법인 고용 관련 사업을 확대하며, 농촌융복합산업을 고도화하고, 고령농의 영농승계 활성화 등으로 일자리를 늘려야 한다. 또한 먹거리 정책을 지원하고, 통일농업 및 농산물 교역 등을 통해 농업의 발전 가능성을 확대해야 한다. 기존의 식량 정책을 발전시키는 것 또한 중요하다. 농촌에 청년들이 이주해 희망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데 정부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겠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