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실제 생활 인구가 일일 최대 130만 명에 육박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정부가 지방분권을 통한 균형발전을 위해 인구 100만 명 이상의 대도시를 특례시로 지정하는 내용의 지방자치법 개정안을 추진중인 가운데 전주의 특례시 지정에 힘이 실리게 됐다.

11일 전주시 등에 따르면 SKT가 지난해 전주지역 생활인구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일 평균 93만6249명, 최대 125만774명이 생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주의 실제 주민등록인구 66만 명 보다 2배 이상 많은 수치다.

여기에 완주를 포함하면, 일 평균 109만1788명, 최대 163만3830명이라는 결과도 나왔다.

KT도 지난해 10월 조사결과, 전주와 완주의 생활인구가 하루 최대 103만2993명으로 나왔다.

이는 전주 한옥마을을 중심으로 연간 1000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밀려오고, 유동인구를 유발하는 각종 행정기관이 집중된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현재 전주지역 행정 기관수는 264개로 인구 100만 도시인 고양(135개), 수원(184개), 용인(128개), 창원(261개)보다 많다.

이에 주차 문제 등 행정수요는 폭증하지만, 인프라는 부족해 각 도시문제가 유발되고 있다.

특히, 역대 정부가 5+2 광역경제권 등 광역시·도 위주의 정책을 추진, 광역시가 없는 전북도는 낙후의 악순환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실제, 2017년 기준 전북도와 도내 14개 시·군의 세입 결산액은 18조 원이다.

반면, 광주·전남 32조 원, 대전·세종·충남 31조 원, 서울·인천·경기 150조 원, 부산·울산·경남 53조 원, 대구·경북은 43조 원의 예산을 받았다.

이에 낙후된 전북 발전의 돌파구로 전주 특례시 지정 목소리가 높게 일고 있으며 특례시 지정의 본 취지를 살리는 도시 특성 등도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김승수 전주시장은 “주민등록상 거주 인구로만 특례시를 지정하면 지역간 불균형만 부추기게 될 것”이라며 “실 생활인구와 행정수요, 지역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특례시를 지정해야 국가균형발전을 이룰 수 있다”고 강조했다./김선흥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